케이블카 입장권 비용도 기업의 문화 업무추진비 인정

정부가 국내 관광 활성화를 위해 총 600억원 상당의 여행비·휴가비를 지원한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9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내수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총 100만명에 1인당 숙박비 3만원씩을, 19만명에 휴가비 10만원씩을 지원한다. 내수를 진작하기 위해 50여개 메가 이벤트, 대규모 할인행사도 진행한다. 전국 130개 이상 지역축제도 테마별로 확대한다. 지역축제와 연계해 소비쿠폰을 지급하고, 공공기관 시설 무료 개방도 늘린다.
추경호 부총리는 "국민의 관광 및 소비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여행 편의도 제고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문화비·전통시장 지출에 대한 소득공제율을 10%포인트씩 한시적으로 상향할 방침이다. 유원시설과 케이블카 입장권 비용도 기업의 문화 업무추진비로 인정하기로 했다.
4월과 7월 공무원 연가 사용을 촉진하고, 학교 재량 휴업을 권장해 여행 분위기도 조성한다. 숙박비 지원을 통해 민간 '여행 친화형 근무제'도 확산시킬 방침이다.
정부는 내수 활력이 골목상권과 소상공인까지 미치도록 취약 부문 지원도 보강한다. 중소기업 소상공인 중심의 동행축제를 연 3회로 확대해 오는 5월 중 조기 개최한다. 온누리 상품권 구매 한도를 대폭 상향해 전통시장에서의 수요 확대를 지원한다.
전통시장 테마 상품과 외국인 투어 상품도 적극 개발하고 결제 편의를 제고한다. 먹거리·금융·통신 등 핵심 생계비에 대한 가계의 부담도 덜어주기로 했다.
올해 관광객을 1000만명 이상 유치하기 위해 일본·대만 등 입국 거부율이 낮은 22개국을 대상으로 전자여행허가제(K-ETA)를 한시 면제한다. 추 부총리는 "올해 방한 관광객 1000만명 이상을 목표로 입국 이동 편의 제고, K 콘텐츠 확충 등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 국제 항공편도 늘려 코로나19 사태 이전의 80∼90% 수준까지 회복시키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