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취업자 수가 1년 전 대비 31만2000명 늘어나는 데 그치며 2년 만에 최소 증가 폭을 기록했다. 특히 60세 미만에서 취업자 수가 10만명 넘게 줄고. 제조업 취업자가 두 달 연속 감소하는 등 수출-내수 복합불황에 따른 '고용 한파가 닥친 모습이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2월 취업자 수는 2771만4000명으로 지난해 2월보다 31만2000명 늘었다. 이는 코로나19 사태가 심각했던 2021년 2월(-47만3000명) 이후 가장 작은 증가 폭이다. 취업자 수는 2021년 3월부터 24개월째 증가했지만, 그 폭은 지난해 6월(84만1000명)부터 올 2월까지 9개월 연속 둔화했다.
2월 취업자를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41만3000명 늘어난 반면 60세 이상을 제외한 연령대에선 10만1000명 감소했다. 50대(7만7000명)와 30대(2만4000명)가 늘었으나, 20대 이하 청년층(-12만5000명)과 가정경제를 이끄는 핵심 연령대인 40대(-7만7000명)는 감소했다.
특히 청년층 취업자 감소 폭은 2021년 2월(-14만2000명) 이후 2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청년층 취업자는 4개월째, 40대 취업자는 8개월째 감소했다. 그 여파로 청년층 고용률도 45.5%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하락했다. 이 또한 2021년 2월 이후 2년 만에 하락세 전환이다.
업종별로는 수출 감소 후폭풍으로 제조업 취업자가 2만7000명 감소했다. 전월(-3만5000명)에 이어 두 달째 감소했다. 명예퇴직이 진행 중인 금융·보험업에서도 6000명 감소했다. 금융·보험업 취업자 수는 지난 1월 13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가 한 달 만에 다시 감소했다.
도소매업(-7만6000명), 운수·창고업(-4만4000명), 농림어업(-4만4000명) 등에서도 취업자 수가 감소했다.
이와 달리 정부 일자리 예산 투입으로 보건·복지업은 19만2000명, 숙박·음식점업도 17만6000명 각각 늘었다. 숙박·음식점업은 10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전체 실업자 수는 89만명으로 6만4000명 줄고, 실업률은 3.1%로 0.3%포인트 낮아졌다. 하지만 청년층 실업률은 7.0%로 0.1%포인트 상승했다. 30대 실업률도 2.7%로 0.1%포인트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