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 음식점 메뉴 둘 중 하나는 매장에서 먹을 때보다 배달로 주문할 때 더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 음식 가격이 매장 가격과 다르다는 점을 알리지 않는 음식점도 상당수에 이르렀다.
한국소비자원이 배달의민족과 요기요, 쿠팡이츠에 입점한 서울시내 34개 음식점의 1061개 메뉴 가격을 조사해 21일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분식집 12곳과 패스트푸드·치킨 전문점 8곳 등 20개 음식점(58.8%)이 매장과 배달앱 내 음식 가격을 달리 책정하고 있었다. 이 중 13개 음식점은 배달 가격과 매장 가격이 다를 수 있다는 내용을 고지하지도 않았다.
메뉴별로 보면 1061개 중 541개(51%)의 가격이 차이가 났다. 이 중 529개(97.8%)는 배달 가격이 매장보다 비쌌다. 매장보다 배달이 비싼 메뉴의 평균 가격은 6702원으로 매장 가격(6081원)보다 10.2% 높았다.
특히 배달앱 중개수수료와 광고비가 오르면 음식 가격이 덩달아 상승하며 소비자 부담으로 전가되고 있다. 소비자원이 배달앱을 이용하는 소상공인 외식업주 100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중개 수수료 인상 시에는 49.4%, 광고비 인상 시에는 45.8%가 음식 가격이나 소비자가 부담하는 배달비를 올리거나 음식량을 줄였다고 응답했다. 또한 소비자 1950명 중 50.1%, 외식업주 중 75.9%는 현재 배달비가 비싸다고 응답했다.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거나 지원하는 공공 배달앱의 경우 서울 시내 배달비는 민간 배달앱과 비슷했지만, 일부는 공공 배달비가 더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 배달앱(배달의민족·요기요·쿠팡이츠)과 공공 배달앱(대구로·먹깨비·배달의명수·배달특급) 7개의 소비자 종합 만족도는 평균 3.52점으로 공공의 만족도가 민간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업체별로는 대구로 3.62점, 쿠팡이츠 3.58점, 배달특급 3.54점, 먹깨비 3.53점으로 업체 간 점수 차는 오차범위 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