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재한 NAS섀도캠 촬영사진 첫 공개…바위 굴러 떨어진 경로 뚜렷하게 보여줘

우리나라 달 궤도선 다누리호에 탑재된 '미국 항공우주국(NASA) 섀도캠'이 최초로 촬영한 사진이 탑재체 제작기관인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에서 운영하는 섀도캠 홈페이지(http://shadowcam.sese.asu.edu)에 공개됐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12일 공개된 사진은 달의 남극에 있는 너비 약 20㎞의 섀클턴 분화구의 내부 영구 음영지역을 촬영한 것이다. 섀클턴 분화구는 NASA가 50여년 만에 다시 달 표면에 인간을 내려놓기 위한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의 유인 착륙 후보지 중 한 곳이다. NASA는 탐사선(LRO)을 이용해 이 지역을 조사해왔다.
이번 사진은 가파르게 경사진 분화구에서 지름 5m의 바위가 굴러떨어진 경로가 세밀하게 보이는 등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달의 영구 음영지역을 상세하게 보여준다고 애리조나주립대는 설명했다. 항공우주연구원은 "NASA 섀도캠은 앞으로 물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달 극지방의 영구 음영지역을 관측해 유인 착륙에 적합한 후보지를 탐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누리호에 탑재된 섀도캠은 달 극 지역의 분화구 내 영구 음영지역에 물이 존재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NASA가 애리조나주립대학교와 함께 개발한 특수 카메라이다. 2009년 발사된 NASA 달 궤도선 LRO에 장착된 카메라(NAC) 대비 200배 이상 빛에 민감하도록 설계돼 지금까지 불가능했던 달의 영구 음영지역을 촬영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