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부터 30대 여성의 초혼 건수가 20대 여성의 초혼 건수를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을 늦게 하는 사회 분위기를 반영한 것으로 지난해 연간 혼인 통계가 집계되면 만혼(晩婚) 현상은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추정된다.
통계청의 혼인 통계에 따르면 2021년 혼인 건수는 19만3000건 가운데 아내가 초혼인 경우는 15만7000건이었다. 여성의 초혼을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 30대에 결혼한 경우가 7만6900건(49.1%)로 절반에 육박했다. 그 다음으로 20대 7만1263건(45.5%), 40대 6564건(4.2%), 10대 798건(0.5%), 50대 724건(0.5%)의 순서였다.
30대 여성의 초혼 혼인 건수가 20대 여성을 추월한 것은 1990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이다. 1990년만 해도 20대 여성의 초혼 건수가 33만3000건으로 30대 여성(1만9000천건)의 18배로 훨씬 많았다.
2000년에는 20대 여성의 초혼 건수가 24만1000건으로 30대 여성(3만1000건)의 약 8배였다. 2010년에는 20대 여성의 초혼 건수가 17만3000건으로 30대 여성(8만5000건)의 약 2배였다. 이처럼 20대 여성의 초혼 건수는 줄고 30대 여성의 초혼 건수가 늘어나면서 점점 차이가 줄더니 마침내 재작년에는 역전한 것이다.
남성의 경우 2005년에 30대의 초혼 건수(12만1000건)가 20대(11만9000건)의 초혼 건수를 넘어섰다. 남성도 1990년에는 20대에 첫 결혼을 한 경우(28만9000건)가 30대(7만2000건)보다 훨씬 많았는데 점차 결혼 연령대가 높아졌다.
2021년에는 30대 남성의 초혼 건수가 9만9000건(61.7%)으로 20대 남성(4만4000건·27.6%)의 두 배를 웃돌았다. 40대 남성의 초혼 건수는 1만5000건(9.0%)이었다.
재작년 평균 초혼 연령은 여자 31.1세, 남자 33.4세였다. 1991년에 여자 24.8세, 남자 27.9세였던 초혼 평균 연령이 30년 만에 각각 6.3세, 5.5세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