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D램의 현물가격이 10개월 만에 처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가 불안심리로 이어지며 일부 업체들이 구매량을 크게 늘리는 등 수요가 확대됐을 것이라는 업계의 분석이다.
12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디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시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제품인 DDR4 8Gb(기가비트) D램의 시장 현물가격은 10일 기준 평균 3.0달러로 전날 대비 1.2% 올랐다. 이는 지난해 9월14일 같은 제품의 가격이 7.4달러를 기록해 전날 대비 약 0.2% 오른 이후 10개월 만의 첫 반등이다.
또한 수요가 적은 구형 제품에 속하는 DDR3 4Gb D램은 지난 8일부터 10일까지 전날 대비 상승세를 이어온 것으로 조사됐다. 업계는 일본의 수출규제가 국내 메모리 반도체 생산에 끼치는 실제 영향과 관계없이 수요자의 심리적 불안감을 자극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했다. 향후 규제 영향에 대비해 일단 재고를 늘리는 방향으로 구매 전략을 바꾸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미국의 화웨이 제재 완화와 인텔 등 PC용 반도체 수요자들의 경쟁 심화 등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일부 모듈 업체가 가격 상승을 염두에 두고 투기적인 매수에 나서고 있는 점도 가격 반등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업계는 일본 정부의 수출 제한이 장기화할 경우 D램 공급 차질에 의한 가격 상승을 노리는 매수세가 대규모로 발생하고 현물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고 관측했다. 구형 제품의 가격이 이틀 먼저 상승세를 탄 것은 구형 제품 생산이 적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격이 빨리 움직인 것으로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