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망 BSI 4p↓… 내년 경제 '혹한기' 오나

기업 경영인들이 느끼는 체감경기가 9~12월 넉 달 연속 냉각된 데 이어 내년 1월 체감경기는 더 내려가며 내년 초 한국 경제의 혹한기 도래를 예고했다.
한국은행이 28일 내놓은 2022년 12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 산업의 업황 경기실사지수(BSI)는 74로 11월(75)보다 1포인트 내려갔다. 이는 2020년 10월(74) 이후 2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9월(78)에 3포인트 떨어진 뒤 넉 달째 하락행진이다.
BSI는 현 경영상황에 대한 기업가의 판단과 전망을 바탕으로 산출하는 것으로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보다 많으면 지수가 100을 밑돈다. BSI가 100 이상이면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뜻이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12월 BSI 조사는 13~20일 3255개 법인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해 2766개 기업(제조업 1639개·비제조업 1137개)이 응했다. 업종별로 제조업 상황이 심각했다. 제조업 업황 BSI(71)는 3포인트 떨어졌고, 서비스업 등 비제조업 업황 BSI(76)는 변동이 없었다.
제조업 가운데 특히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반도체·화학제품 수출 감소로 전자·영상·통신장비(-6포인트), 화학물질·제품(-11포인트)의 하락폭이 컸다. 기타 기계장비(-7포인트)도 건설·철강 등 전방산업의 업황 악화로 부진했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각각 5포인트, 2포인트 하락했다. 수출기업(-1포인트)보다 내수기업(-5포인트)의 체감경기가 더 큰 폭으로 나빠졌다.
비제조업 중에서는 아파트값 급락에 따른 주택경기 둔화, 소비심리 위축 등의 영향으로 건설업(-6포인트), 부동산업(-6포인트), 도소매업(-2포인트)의 업황 BSI가 떨어졌다.
내년 초 경기전망은 더 비관적으로 조사됐다. 내년 1월 업황에 대한 전망 BSI 지수(70)는 4포인트 내려갔다. 제조업(68)에서 1포인트, 비제조업(72)에서 5포인트 낮아졌다.
제조업 중 특히 대기업(71)이 4포인트, 수출기업(64)이 3포인트 급락해 수출 부진이 내년 최대 경제 난제가 될 것임을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