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점 만점에 개인 56.4점, 기업 47.7점…기업에 대한 긍정인식 64.0점
기업유형별 긍정인식은 스타트업-벤처기업-대기업-일반 중소기업 차례

개인과 기업의 기업가적 지향성과 역량 등 기업가정신 수준이 3년 전에 비해 크게 오르고,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반기업정서보다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벤처기업부와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이 19일 내놓은 '2022 기업가정신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가정신 종합 점수는 100점 만점에 개인은 56.4점, 기업은 47.7점으로 집계됐다. 이는 개인 1만2000여명과 기업 3000여개를 대상으로 지난 8~10월 3개월간 실시한 조사결과로 2019년 대비 각각 7.3점, 18.1점 상승했다.
개인의 경우 기업가적 지향성(9.2점↑)과 기업가적 역량(8.4점↑), 기업가적 태도(4.5점↑) 등 모든 항목에서 상승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58.2점으로 여성(54.6점)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20대 59.8점, 30대 59.1점 등 20~30대가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올해 조사부터 추가된 기업 인식 조사에서는 긍정적 인식(64.0점)이 반기업 정서(57.6점)를 웃돌았다. 기업군별 긍정적 인식은 스타트업 64.9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벤처기업64.5점, 대기업 63.8점, 일반 중소기업 62.8점의 순서였다.
기업은 비전과 전략(13.5점↑), 기업가적 지향성(18.1점↑), 문화와 구조(20.2점↑), 운영체계(20.2점↑) 등 항목에서 전반적으로 올랐다. 산업별로 보면 교육서비스업(82.3점)이, 성장 단계별로는 초기 성장기 기업(58.5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 신기술 관련 기업(48.7점)이 관련 없는 기업(47.6점)보다 높고, 벤처·이노비즈·메인비즈 인증 기업(52.1점)이 미인증기업(47.5점)보다 좋은 평가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