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2분기 연속 6조원대 영업이익으로 지지부진한 실적 흐름을 이어갔다.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하강 국면이 길어지고 다른 사업 부문도 획기적인 회복의 전기를 찾지 못한 데 따른 것으로 당분간 지난해와 같은 분기에 10조원 이상 흑자는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삼성전자는 올 4∼6월(2분기) 연결기준 잠정 실적으로 매출 56조원, 영업이익 6조5천억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5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분기(52조3900억원)보다 6.9% 늘었으나 지난해 같은 기간(58조4800억원)에 비해서는 4.2% 감소했다.
영업이익도 1년 전(14조8700억원)에 비해 56.3% 급감했으나 전분기(6조2300억원)보다는 4.3% 증가했다. 전분기 대비 증가는 지난해 3분기 이후 처음이다. 역대 최고 기록이었던 지난해 3분기(17조5700억원)와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이다. 삼성전자는 2017년 2분기부터 지난해 4분기까지 7분기 연속 10조원 이상 흑자를 기록했었다.
매출에서 영업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인 영업이익률은 11.6%로 전분기(11.9%)보다 낮아졌다. 2016년 3분기(10.9%)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올 상반기에 12조73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지난해 같은 기간(30조5100억원)보다 58.3% 줄어든 것이다.
이날 사업 부문별 실적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주력인 반도체 사업의 영업이익이 3조원대 초반에 머문 것으로 추정됐다. 역대 최고치였던 지난해 3분기(13조6500억원)에 크게 못 미힘은 물론 전분기(4조1200억원)보다도 줄어든 수치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 사업은 '1회성 수익' 덕분에 전분기 적자에서 벗어났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업계는 미국 애플이 아이폰 판매 부진 탓에 플렉서블 올레드 패널 수요가 줄어든 데 대해 일정 부분 책임을 지고 삼성에 '보상금'을 지급했다는 추측이 나왔다.
IT·모바일(IM) 부문은 갤럭시폴드 출시 연기, 평균판매단가 하락 등 악재가 잇따르면서 전분기보다 흑자 규모가 큰 폭으로 줄어든 반면 소비자가전(CE) 부문은 실적이 다소 개선됐을 것으로 업계는 관측했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2분기 연속 6조원대에 그친 데 대해 '바닥을 다졌다'는 낙관론과 '부진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비관론이 엇갈리고 있다. 우선 전 세계 IT 업체들의 반도체 재고 조정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하반기부터는 메모리 수요와 가격이 회복세를 보이고, 갤럭시폴드와 갤럭시노트10 등의 출시 효과가 더해지면서 실적 곡선이 다시 올라가리란 것이 낙관론의 근거다.
반면 메모리 가격 하락세가 좀처럼 멈추지 않고, 미중 통상전쟁과 일본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수출규제 등 악재가 겹친 것은 부정적 전망을 뒷받침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2분기 연속 6조원대 영업이익으로 지지부진한 실적 흐름을 이어갔다.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하강 국면이 길어지고 다른 사업 부문도 획기적인 회복의 전기를 찾지 못한 데 따른 것으로 당분간 지난해와 같은 분기에 10조원 이상 흑자는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삼성전자는 올 4∼6월(2분기) 연결기준 잠정 실적으로 매출 56조원, 영업이익 6조5천억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5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분기(52조3900억원)보다 6.9% 늘었으나 지난해 같은 기간(58조4800억원)에 비해서는 4.2% 감소했다.
영업이익도 1년 전(14조8700억원)에 비해 56.3% 급감했으나 전분기(6조2300억원)보다는 4.3% 증가했다. 전분기 대비 증가는 지난해 3분기 이후 처음이다. 역대 최고 기록이었던 지난해 3분기(17조5700억원)와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이다. 삼성전자는 2017년 2분기부터 지난해 4분기까지 7분기 연속 10조원 이상 흑자를 기록했었다.
매출에서 영업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인 영업이익률은 11.6%로 전분기(11.9%)보다 낮아졌다. 2016년 3분기(10.9%)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올 상반기에 12조73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지난해 같은 기간(30조5100억원)보다 58.3% 줄어든 것이다.
이날 사업 부문별 실적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주력인 반도체 사업의 영업이익이 3조원대 초반에 머문 것으로 추정됐다. 역대 최고치였던 지난해 3분기(13조6500억원)에 크게 못 미힘은 물론 전분기(4조1200억원)보다도 줄어든 수치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 사업은 '1회성 수익' 덕분에 전분기 적자에서 벗어났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업계는 미국 애플이 아이폰 판매 부진 탓에 플렉서블 올레드 패널 수요가 줄어든 데 대해 일정 부분 책임을 지고 삼성에 '보상금'을 지급했다는 추측이 나왔다.
IT·모바일(IM) 부문은 갤럭시폴드 출시 연기, 평균판매단가 하락 등 악재가 잇따르면서 전분기보다 흑자 규모가 큰 폭으로 줄어든 반면 소비자가전(CE) 부문은 실적이 다소 개선됐을 것으로 업계는 관측했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2분기 연속 6조원대에 그친 데 대해 '바닥을 다졌다'는 낙관론과 '부진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비관론이 엇갈리고 있다. 우선 전 세계 IT 업체들의 반도체 재고 조정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하반기부터는 메모리 수요와 가격이 회복세를 보이고, 갤럭시폴드와 갤럭시노트10 등의 출시 효과가 더해지면서 실적 곡선이 다시 올라가리란 것이 낙관론의 근거다.
반면 메모리 가격 하락세가 좀처럼 멈추지 않고, 미중 통상전쟁과 일본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수출규제 등 악재가 겹친 것은 부정적 전망을 뒷받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