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협회 "피해 늘어"…석유協 "주유기름 없어"

시멘트,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 업계 등 업종별 협회·단체들이 민주노총 공공운수노동조합 화물연대본부의 파업 이틀째인 25일 파업 중단을 촉구하고 정부에 업무개시명령 등을 통한 물류 정상화를 주문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와 한국시멘트협회,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철강협회, 한국석유화학협회, 한국해운협회 등 30개 업종별 협회·단체들은 화물연대 파업으로 심각한 피해가 우려된다며 조속한 정상화를 호소했다.
이동근 경영자총협회 상근부회장은 노동계 총파업에 대한 공동 성명서를 통해 "정부와 기업은 물론 국민들이 하나로 단합해 위기를 극복해야 할 시점에 산업 물류를 볼모로 자신들의 이익을 관철하겠다는 화물연대의 투쟁에 공감할 국민은 거의 없다"며 "화물연대는 집단운송거부를 즉각 중단하고 운송에 복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동근 부회장은 "정부가 물류 대란으로 발생하는 막대한 파급 효과를 조기에 차단하기 위해 업무개시명령을 포함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물류 정상화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배판술 시멘트협회 전무는 "현재까지 시멘트 생산은 정상적이지만, 평소의 10%만 출하되고 있다"며 "시멘트 업계 피해뿐 아니라 건설 등 연관 산업 피해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김영무 해운협회 상근부회장은 "하루 수출입 물자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12억달러에 달하는데 운송에 차질을 빚고 있다"며 "부산항의 컨테이너 반·출입이 중단되면 세계 화주들로부터 외면받게 되고 중국의 주변항만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동창 대한석유협회 상근부회장은 "주유소가 정유업계와 협의해 재고를 많이 확보했지만, (파업이) 장기화하면 자동차도 못 움직이는 상황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밖에도 변영만 철강협회 상근부회장은 경기침체 상황에서 철강 사업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강남훈 자동차협회 회장은 수출 차질이 불가피하고 전국 1만3000여개 부품업체들의 생계가 어려워질 수 있음을, 정우용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정책부회장은 파업으로 기업 실적이 악화하면 국내 주식투자자 1400만명도 피해를 보게 된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