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등으로 매매 부진따른 전세수요 증가에 전셋 값은 0.5%인상 전망

높은 금리와 경기 둔화의 여파로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집값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2일 열린 2023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내년 전국 주택가격이 2.5%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올해 누적 집값 하락 전망치(-1.8%)보다 하락폭이 큰 것이다.
건설산업연구원은 내년 집값이 수도권 지역에선 2.0%, 지방은 3.0%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김성환 부연구위원은 "수도권은 올해 3분기부터 하락세가 커졌지만 10월 28일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발표된 금융규제 완화가 하락폭 확대를 저지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어 "지방은 앞서 상승기에 주택 공급이 집중된 곳을 중심으로 수도권보다 하락폭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김성환 연구위원은 금융규제 완화에도 불구하고 금리인상 기조와 경기침체로 주택매수 심리 부진은 계속되며 시장 전반에 걸쳐 가격 하락세와 거래 침체의 골은 올해보다 더 깊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전세의 경우 주택매수세 축소로 인해 전세시장으로 수요가 추가 유입되며 올해와 달리 전국적으로 0.5%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김 연구위원은 "주택매매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줄면서 그 대안으로 임대차시장의 수요가 늘 것"이라며 "금리인상으로 인해 내년에는 임대인이 월세 가격도 인상하며 전세가격 하락세를 1년 만에 마감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한편 내년도 공동주택 분양승인 예상 물량은 27만호로 올해(31만호)보다 4만호 정도 줄고, 연간 건축 인허가 물량도 올해 46만호에서 43만호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원자재 등 건축비용 상승, 분양시장 침체의 여파로 민간 주택건설업자의 지역별 옥석 가리기가 심화돼 분양·인허가 물량이 감소할 것으로 관측됐다.
내년에 전반적인 건설 수주 물량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건설산업연구원은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내년 국내 건설수주액은 206조8000억원으로 올해(223조5000억원)보다 7.5%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 수주액은 2019년부터 4년 연속 증가해 올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박철환 연구위원은 "내년에는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10% 이상 감소하고 고금리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에 대한 금융규제 강화 등 어려운 시장 여건으로 인해 수주액이 최근 3년 새 가장 낮은 실적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