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02:50 (수)
중국구석구석탐색㊸따퉁의 화옌쓰
중국구석구석탐색㊸따퉁의 화옌쓰
  • 홍원선 이코노텔링 대기자(중국사회과학원박사ㆍ중국민족학)
  • wshong2003@hotmail.com
  • 승인 2019.07.27 13: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요왕조의 천년 사찰…지역의 '랜드마크' 역할

버스로 따퉁으로 이동하다. 숙소에서 약 200m떨어진 시외버스터미날로 이동하여 7시40분 출발 따퉁행 버스표를 사고 버스에 올랐다. 버스는 드물게 보는 이층버스였다.

따퉁 화엄사의 산문.
따퉁 화엄사의 산문.

미리 승차하여 2층에 자리잡고 앉았으나 10분이 지나고 15분이 지나도 떠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15분이 지나 너무 화가 나서 아래층으로 내려가 승무원들에게 7시40분차가 8시가 다 되어 가는데도 왜 안 떠나냐고 고함을 질렀다. 승무원의 답변은 표를 끊은 사람이 아직 오지 않아 출발하지 못 한다는 것이다.

화엄사는 천년 이전 요왕조 시대 건축되었고 사찰의 이름도 불교경전에서 연원하지만 명조 중엽부터 절은 상화엄사와 하화엄사로 구분되었다가 다시 신중국이 건국된 후 화엄사로 통합되었다. 이전의 구분대로 상화엄사란 현판도 보인다.
화엄사는 천년 이전 요왕조 시대 건축되었고 사찰의 이름도 불교경전에서 연원하지만 명조 중엽부터 절은 상화엄사와 하화엄사로 구분되었다가 다시 신중국이 건국된 후 화엄사로 통합되었다. 이전의 구분대로 상화엄사란 현판도 보인다.

우리는 40분 차표를 샀으니 정시에 출발해야 한다고 한마디하고 자리로 올라왔다. 옆좌석에 앉아 있던 중국인 젊은 승객이 이 버스가 표를 산 사람이 오지 않아 출발하지 않는다는 말은 말도 안 되는 핑계이고 아마도 이 좌석에 손님을 다 태울 때까지 출발하지 않을 거라고 예언(?)을 한다. 그 말이 선뜻 믿기지도 이해되지도 않았으나 결국 그렇게 됐다. 8시쯤 되어 손님이 칠, 팔명이 올라타니 버스가 만석이 됐고 8시가 넘어서야 이윽고 출발했다. 중국을 좀 안다고(?) 생각했는데 (한국인의 시각에서)아주 이상한 일이 일상적으로 아직도 많이 일어나는 나라가 중국인 것은 분명한 것 같다.

화엄사 내부의 사천왕상 모습. 이 천왕상의 모습이 좀 특이하다. 발을 보면 큰 발로 악귀를 누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불국토를 어지럽히는 악의 무리는 그 누구라도 사천왕은 강한 힘으로 내리 누른다는 점을 아주 직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런 사천왕을 보면 불교도들도 좀 더 마음의 평안을 얻을지 모르겠다.
화엄사 내부의 사천왕상 모습. 이 천왕상의 모습이 좀 특이하다. 발을 보면 큰 발로 악귀를 누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불국토를 어지럽히는 악의 무리는 그 누구라도 사천왕은 강한 힘으로 내리 누른다는 점을 아주 직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런 사천왕을 보면 불교도들도 좀 더 마음의 평안을 얻을지 모르겠다.

차는 출발했지만 다시 차가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 동맥경화에라도 걸린 듯 타이웬 시내가 거대한 주차장이 되었다. 그리 멀지 않은 것 같은 톨게이트를 통과하는데 출발 후 1시간 반이 지났다. 버스는 톨게이트를 통과한 후 그럭저럭 속도를 내면서 결국 우리를 1시쯤 따퉁 남시외버스터미날에 내려 놓았다.

화엄사 내부의 한 향로의 용 조각이 아주 정교하고 아름답다. 2단의 향로는 각 단에 모두 6개씩 생동감 넘치는 용조각을 부착해 이색적이었다. 불교의 법기에 중국 전통문화를 구성하는 용을 표현해 불교와 중국문화의 융합이라는 점에서 눈길이 갔다.
화엄사 내부의 한 향로의 용 조각이 아주 정교하고 아름답다. 2단의 향로는 각 단에 모두 6개씩 생동감 넘치는 용조각을 부착해 이색적이었다. 불교의 법기에 중국 전통문화를 구성하는 용을 표현해 불교와 중국문화의 융합이라는 점에서 눈길이 갔다.

이 터미널은 주변에 생활편의시설은 전혀 보이지 않고 아파트만 보일 뿐이었다. 시내관광이나 내몽골로 들어가는 것을 감안하여 숙소를 기차역 부근에서 잡기로 하고 기차역으로 이동하다. 기차역 부근의 홍기 호텔에 여장을 풀었다. 방값이 제법 비싼 호텔인 것 같은데 오늘은 248위안을 받는다. 짐을 풀고 바로 시내관광에 나섰다. 가장 먼저 찾은 것은 따퉁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유적인 화옌쓰 ( 華嚴寺 )다. 이 사찰이 다퉁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라는데 이의를 달 사람은 거의 없으리라 생각된다. 과거 한 시점 이 사원은 바로 황실사원이었고 절의 규모나 주변에 미친 영향에서 아주 중요한 사찰이었다. 호텔에서 화옌스로 이동하는 과정에 만난 택시기사는 사람이 아주 듬직하고 신중하며 친절하였다. 도중에 따퉁관광에 대해 대화를 나누며 내일 쉔콩스와 주변의 항산 그리고 윈깡석굴에 대해 논의하면서 택시를 대절하기로 결정하였다. 약 70km떨어진 쉔콩스와 항산과 주변의 산 그리고 약 20km 떨어진 윈깡석굴을 모두 관광하는 조건으로 하루를 대절하기로 하였다. 대절 요금은 350위안.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229번지 (서울빌딩)
  • 대표전화 : 02-501-6388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재열
  • 발행처 법인명 : 한국社史전략연구소
  • 제호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 등록번호 : 서울 아 05334
  • 등록일 : 2018-07-31
  • 발행·편집인 : 김승희
  • 발행일 : 2018-10-15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이코노텔링(econotelling). All rights reserved. mail to yunheelife2@naver.com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재열 02-501-6388 kpb11@hanmail.net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