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2년 동안 추진해온 경기도 용인시 공세동 데이터센터 건립을 중단하기로 했다. 이로써 아마존웹서비스(AWS), 구글 등 외국계가 80% 이상 점령한 국내 클라우드 시장에 도전하려는 네이버의 사업 전략은 전자파 위험 등을 우려한 주민 반대로 원점으로 돌아갔다.
14일 용인시에 따르면 네이버는 용인시에 추진하던 데이터센터 건립을 중단하겠다는 공문을 발송했다. 네이버는 공문에서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에 진행 중인 데이터센터 추진을 안타깝게도 중단하게 됐다"며 "지역과 함께하는 좋은 모델을 만들고자 했으나 진행하지 못하게 돼 매우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네이버는 2017년 9월 용인시 공세동 일대 14만9633㎡ 용지에 클라우드 산업단지를 조성하기 위한 투자의향서를 용인시에 제출했다. 네이버는 클라우드 사업을 확대하면서 추가 데이터센터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인력 확보와 접근성 등 장점이 있는 용인을 낙점했다. 5400억원을 들여 2023년까지 기존 춘천 데이터센터의 2.5배 규모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인근 지역 일부 주민들이 전자파 등 위험성을 이유로 반대해 건립에 난항을 겪었다. 용인시도 주민과 의견 불일치를 이유로 2년간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네이버는 주민들이 주장하는 전자파 위험이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했다. 미래전파공학연구소가 지난해 말 네이버 춘천 데이터센터 ‘각’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측정한 결과 수치가 일반 가정집보다 낮은 1mG(밀리가우스) 이하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네이버의 설계도에 따르면 용인 데이터센터는 송전탑을 추가로 짓지 않고, 송전선도 아파트 단지와 학교를 지나지 않는 경로에 설치한다. 송전선을 땅에 묻어 피해를 줄이는 지중화 작업도 추진한다. 네이버는 이를 알리고 주민을 설득하기 위해 여러 차례 대화 자리를 마련했으나 반대 목소리가 그치지 않자 건립 중단을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