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사들의 1분기 성적표가 크게 엇갈렸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항공사(FSC)들이 지난해보다 실적이 줄어든 데 비해 저비용항공사(LCC)들은 신규 노선 확대와 동남아 성수기 효과에 힘입어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25억원 증가한 3조498억원의 1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1768억원)보다 16.2% 감소한 1483억원이었다. 당기순이익은 적자로 전환해 342억원의 순손실을 보였다. 대한항공은 “대형기 정비 주기 도래에 따른 정비비 부담과 달러 강세에 따른 외화환산손실이 실적 감소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아시아나의 경우 매출은 1조7332억원으로 전년 동기 수준을 유지했지만 영업이익이 7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9.1%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적자로 전환해 892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정보기술(IT) 기업의 수출물량 감소로 화물 부문이 부진했던 게 영향을 미쳤다.
이와 달리 LCC의 성장세는 두드러졌다. 제주항공은 올해 1분기 569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464억원)보다 22.7% 늘었다. 매출은 같은 기간 3085억원에서 3928억원으로 27.3% 늘었다. 당기순이익도 421억원으로 14% 증가했다. 역대 최대 실적이자 19분기 연속 흑자다.
티웨이항공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9.8% 감소한 370억원이었지만, 2411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2014년 이후 연평균 34% 수준의 매출 증가율을 유지하고 있다.
진에어는 국토교통부의 제재 속에서도 2901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2798억원)보다 3.6% 증가했다. 다만 영업이익(509억원)과 당기순이익(318억원)은 각각 4.1%, 21.1% 감소했다. 중국, 몽골, 싱가포르 등 주요 신규 노선 운수권 배분에서 제외된 데다 보유기재 대비 인건비가 늘면서 수익이 줄었다.
업계는 FSC보다 LCC의 성장세를 주목하고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수익성 개선을 이유로 국내선 운임 인상을 준비 중인데다 일등석 폐지 등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어서다. 특히 아시아나항공은 매각 절차에 따른 비수익 노선 정리와 전 직원 무급휴직을 하고 있어 실적 개선이 불투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