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그룹이 오는 2030년까지 바이오 헬스케어 사업 등에 40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약 11만명의 직간접 고용효과를 나타날 것으로 기대했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16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30년까지 성장 로드맵을 담은 '비전 2030'을 공개했다. 비전 2030의 핵심은 ▲인천 송도에서 바이오의약품 사업에 25조원 ▲충북 오창에서 화학합성의약품 사업에 5조원 ▲U-헬스케어 플랫폼 사업에 10조원을 각각 투자한다는 것이다.

우선 본사가 있는 인천 송도에서는 면역 항암제를 포함한 2세대 바이오시밀러를 20개 이상 개발하고, 신규 치료 기전을 도입한 신약을 확보하는데 16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아울러 연간 바이오의약품 원료의약품 1천500배치(100만ℓ)를 생산할 수 있는 설비 확충, 연간 1억 바이알을 생산할 수 있는 완제의약품 생산 환경 구축 등 세계 1위 규모의 생산능력을 확보하는데 5조원을 투자한다.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우선 송도에 20만ℓ 규모의 3공장을 건설하기로 했다. 당초 3공장은 12만ℓ로 신설하려다가 중장기 계획을 세우면서 규모가 커졌다. 셀트리온은 중국에도 20만ℓ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을 추가 건립하기로 했다.
셀트리온은 이러한 대규모 투자를 통해 인천 송도를 국내 바이오제약 산업의 중심지로 탈바꿈시킨다는 계획이다. 인천시, 삼성바이오로직스 등과 손잡고 송도에 세계적인 바이오밸리를 조성하겠다는 청사진이다. 이를 위해 셀트리온은 3공장 건설 등을 위한 부지 매입을 인천시와 협의 중이다.
글로벌 유통망 확충과 스타트업 지원에도 4조원을 투입한다. 연말까지 유럽에서 직판 체계를 확립하고, 2020년에는 아시아·남미 등지로, 2021년에는 세계 최대 제약 시장인 미국·캐나다까지 직판 체계를 확대할 방침이다.
화학합성의약품 사업은 충북 오창에 있는 셀트리온제약을 중심으로 추진한다. 의약품 수명 주기를 고려해 50여개 파이프라인을 운영하고 신약을 개발하는 데 4조원을 투입하는 한편 생산설비 확충 등에 1조원을 쓸 계획이다.
아울러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원격진료 등 'U-헬스케어'(유비쿼터스-헬스케어) 사업에도 10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U-헬스케어 사업 전반에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고, AI와 빅데이터로 환자를 원격 진료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데 집중하기로 했다. 그 다음 단계로 환자-진료-처방-유통 과정을 4차 산업과 연계해 바이오 e-커머스 플랫폼 사업을 진행하고, 맞춤형 진료와 정밀 진료에 필요한 의료 데이터 수집 진단기기도 개발·생산할 계획이다.
투자금은 바이오의약품 매출 확대에 따른 영업이익에서 조달하기로 했다. 셀트리온은 2030년까지 매년 1개의 제품을 시장에 내놓겠다고 공언해왔으며, 이 과정에서 늘어나는 매출에서 얻는 영업이익 상당 부분을 투자금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서정진 회장은 "매년 영업이익의 40%를 재투자하고 있는데, 2030년까지 보면 영업이익에서 약 30조원을 투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셀트리온은 이번 투자계획에 따라 약 11만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거둘 것으로 전망했다. 의약품 연구개발(R&D) 인력 2천명, 바이오·화학합성의약품 공장 확충에 따른 생산시설 필요 인력 8천명 등 1만여명의 직접 고용과 함께 업종 전반에 걸쳐 10만명의 간접 고용효과를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