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는 헬스케어와 전기차, 빅데이터 분야에 '유니콘 기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16일 글로벌 유니콘 기업이 진출한 상위 10개 사업 가운데 헬스케어, 전기차, 빅데이터 분야에는 한국 기업이 전무하다고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 유니콘 기업은 전자상거래와 핀테크, 인터넷 소프트웨어 등 4개 산업에만 진출해있는 상태다. 이는 미국 시장조사기관 CB인사이트가 발표한 글로벌 유니콘 기업의 산업 진출과 인수합병(M&A), 기업공개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유니콘 기업은 설립 10년 이하이면서 기업 가치가 10억달러(1조원) 이상인 비상장기업을 가리킨다.
한국의 헬스케어 산업은 DTC(비의료기관과 환자간 직접 검사) 검진 항목은 '이것만 되고 다른 것들은 안 된다'는 포지티브 규제 방식으로 규제된다. 빅데이터 산업은 비식별 데이터를 개인정보로 간주하고 상업적 활용을 금지하는 규제로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경연은 진단했다.
한국 유니콘 기업 수는 이달 기준 8개로 미국, 중국, 영국, 인도에 이어 세계 5위다. 8개의 유니콘 기업 가운데 M&A나 기업공개 등으로 초기투자 회수에 나선 기업은 지난 10년간 카카오 한 곳 뿐이라고 한경연은 분석했다. 같은 기간 미국 유니콘 기업 134개가 상장하거나 인수합병하고, 중국 유니콘 30개 기업이 회수 전략을 실행한 것과 비교할 때 너무 빈약하다는 것이다.
한경연은 “유니콘 기업을 육성하고 다양한 분야에 진출시키기 위해사는 전면적인 네거티브 규제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며 “특히 헬스케어, 빅데이터 분야는 규제만 완화하면 산업 발전이 충분히 가능한 분야”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