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평균 소비지출은 142만6천원으로 가구 평균의 58%

1인 가구가 급증하며 지난해 전체 가구의 30%를 넘어섰다. 이들 1인 가구의 80%는 연소득 3천만원 미만이고, 10가구 중 4가구는 월세로 살고 있다.
통계청이 8일 발표한 '2020 통계로 보는 1인 가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1인 가구는 614만8천가구다. 전체(2034만3천기구)의 30.2%다. 1인 가구 비중은 2015년(27.2%) 이후 줄곧 높아지고 있다. 여성은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남성은 30~50대에서 1인 가구 비중이 높다.
10가구 중 6가구(60.8%)가 취업 상태다. 50~64세, 30대, 40대 순으로 취업 비중이 높다. 그러나 1인 가구의 연 소득은 평균 2116만원(월 176만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소득의 36.3% 수준에 머문다. 10가구 중 약 8가구가 연 소득 3천만원 미만이다.
특히 이전소득(공적·사적) 비중이 22.2%로 전체 가구 평균(8.4%)의 2.6배 수준이다. 정부나 가족 등으로부터 받는 돈의 비중이 그만큼 크다는 의미다. 1인 가구 중 절반 정도(51.6%)가 본인이 노후생활비를 마련한다. 정부·사회단체(27.7%), 자녀 또는 친척 지원(20.8%)이 그 다음이다. 본인이나 정부·사회단체의 부담 비중은 늘어나는 가운데 자녀·친척 지원은 감소하는 추세다.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42만6천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의 58.0% 수준이다. 일반 가구와 비교하면 주거·수도·광열과 주류·담배의 지출 비중이 높다. 이들 1인 가구의 의료비는 연간 88만4천원으로 18세 이상 인구 의료비의 1.4배 수준이다.
주 1회 이상 간편식(즉석섭취식품)을 구입하는 비중은 47.7%로 전체 가구(40.7%)보다 7%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주거 형태도 취약하다. 10가구 중 약 4가구(38.0%)가 보증금 있는 월세에 거주한다. 이어 자가(30.6%)와 전세(15.8%)의 순서다. 전체 가구는 자가(58.0%), 보증금 있는 월세(19.7%), 전세(15.1%) 순서다. 1인 가구의 2가구 중 1가구는 40㎡ 이하 면적에 거주하며, 주거침입에 대한 두려움이 일반 가구보다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