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미국을 두 시간 차로 따돌리며 '세계 최초 5세대(5G) 이동통신 상용화'를 발표했다.
3일 오후 11시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국내 이동통신 3사는 각각 고객의 갤럭시S10 5G 스마트폰을 개통했다고 전격 발표했다. 미국의 이동통신 1위 업체 버라이즌은 이보다 2시간 늦은 4일 오전 1시(한국 시간)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선언했다. 버라이즌은 모토로라의 5G 모토 모드를 결합해 Z3 LTE 스마트폰을 5G로 전환하는 방식을 이용했다.

버라이즌은 당초 오는 11일 5G 서비스 상용화를 개시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한국의 '5일 상용화' 계획을 의식해 돌연 일정을 4일로 앞당겼다. 이런 움직임을 감지한 정부와 국내 이통사들은 3일 버라이즌보다 앞서 5G 서비스를 개시했다. 단말기와 요금제를 준비한 상황에서 미국에 ‘세계 최초 5G 스마트폰 상용화’ 타이틀을 빼앗길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에 이통 3사는 당초 일정보다 이틀 앞당긴 3일 오후 11시 각 사별 1호 고객을 대상으로 5G 서비스를 시작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4일 보도자료를 내고 "세계 최초 5G 서비스를 공식 개시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세계 최초 5G 국가'로 인정받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관측된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가 한국과 미국 중 어디를 '세계 최초 5G 국가'로 인정할지도 아직은 미지수다.
1호 고객을 놓고 보면 시간상 한국이 세계 최초임이 분명하다. 그런데 일반 고객 대상 개통은 25시간 뒤인 5일 오전 0시부터다. 미국도 약점이 있다. 5G 전용 단말기를 쓰지 않았고, 미국 2개 도시 안에서도 도심지역에만 제한적으로 서비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