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현대자동차 국내사업 부문이 1974년 증시 상장 이후 44년 만에 처음으로 적자를 냈다. 판매가 부진한 가운데 원가 상승과 인건비 부담이 손실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게재된 현대차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해 해외법인과 관계사 지분법 평가손익을 제외한 별도 재무제표 기준 593억2000만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국내 공장에 기반을 둔 본사 사업만 따질 때 적자를 냈다는 의미다.
현대차 국내사업 부문은 2016년 2조6995억원, 2017년 2조1634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 8124억원,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에도 1조8065억원의 이익을 낸 바 있다.
그런데 지난해에는 매출원가가 4조원 가량 급증하면서 적자로 전환한 것이다. 현대차 본사의 매출원가는 2017년 32조6208억원에서 지난해 36억4034억원으로 늘어났다. 매출실적은 전년 보다 3.7% 많은 43조1601억원을 기록했지만, 매출원가 상승을 상쇄하지 못했다. 결국 매출총이익은 2017년 8조9840억원에서 지난해 6조7566억원으로 감소했다.
여기에는 국내 판매 부진과 원화 강세에 따른 수익성 악화, 연구개발(R&D) 비용 증가, 수익성이 낮은 친환경차 생산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인건비가 오르고, 미국에서 진행된 리콜 비용과 미래 모빌리티 사업 투자 지출도 영향을 미쳤다. 현대차는 올해 대형 SUV 팰리세이드와 신형 쏘나타 등을 앞세워 매출을 끌어올림으로써 수익 기반을 다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