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노조원의 폭행사건에 일침을 가해 당과 청와대 실세가 모두 노조의 도를 넘는 행동에 각을 세웠다. 이 대표는 민주노총 금속노조 소속인 유성기업 노조원들의 임원 집단 폭행 사건에 대해 "(지난 27일 폭행을) 저지하지 못한 경찰에도 큰 책임이 있다"며 “행정안전부와 경찰청은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대책을 세워줄 것을 엄중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미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과 조국 민정수석이 민노총의 최근 행태에 엄중한(?)경고를 해 정부와 여당이 일제히 민노총에게 경고음을 울리고 있는 모양새가 됐다. <이코노텔링 24일자 ‘문재인대통령 민노총 질타’기사 참조>
하지만 행정안전부와 경찰청이 여권 실세들의 이같은 의지표명에 반응해 법을 엄정히 적용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김부겸장관과 민갑룡 경창철장은 노조원 폭행 하루 뒤에 벌어진 대법원장 차량 방화사건에는 즉각 고개를 숙였지만 이를 지켜보는 국민들은 미덥지 않다.
폭행당한 유성기업 임원에게도 그렇게 머리를 숙일지 두고 볼 일이다. 이코노텔링은 현장에 있는 경찰이 왜 폭행현장을 장악하지 못했는지 의아할 뿐이다. 이러는 경찰을 국민들은 얼마나 믿을까.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유성기업 폭행 사건에 대해 "노조가 물리력을 앞세워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하려는 것에 기업들은 공포감마저 느낀다"고 입장문을 발표했다. 기업들이 무서워서 경영을 못할 지경이라는 것이다. 이러고도 정부는 기업들에게 일자리를 만들어 달라고 할수 있을까. 염치 없는 일이다. 그간 노조의 불법파업이나 불법행동에 대해 공권력을 제대로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민주노총 금속노조측이 "지난 8년간 우리는 사측의 폭력을 경험했지만, 폭력에는 반대한다. 옹호할 생각은 없다. 대단히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한 발 뒤로 물러났지만 정부와 공권력 위에 있는 듯한 그들의 행태를 국민들은 수없이 지켜봐야 했다.
이해찬 대표는 이왕 노조의 ‘백주 테러’에 회초리를 든 만큼 이번 기회에 민노총의 도를 넘는 행동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인 해법을 내놔야 할 것이다. 국회에서 상임위원회를 열어서라도 행안부 장관과 경찰청장을 질책하고 필요하면 책임을 물어야 한다. 공권력이 살아있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나라다운 나라’는 그래야 만들어지는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