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국 수출 두달째 뒷걸음… 반도체 반등속 車 등 부진
2월 수출이 15개월 만에 증가세를 보였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향후 수출 부진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졌다. 대중국 수출이 두 달 연속 감소한데다 중국 현지 생산과 부품 조달에 문제가 생기면서 자동차 및 디스플레이 수출이 크게 줄어드는 등 코로나19의 악영향이 심각해졌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월 수출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4.5% 증가한 412억6천만달러로 잠정 집계됐다. 2018년 12월부터 14개월 연속 감소한 수출이 15개월 만에 증가세를 보였다.
수출은 지난해 10월을 저점으로 감소폭이 완화한데다 2월은 설 연휴가 끼었던 지난해와 달리 조업일수가 많아서 반등할 것으로 예상됐다. 실제로 반도체 등 20개 주력 수출품 중 14개, 신(新) 수출성장동력 품목도 7개 중 6개 품목의 수출액이 증가했다. 지난해 수출 부진의 가장 큰 요인이었던 반도체의 경우 글로벌 데이터센터 서버 수요가 늘고 D램 가격의 상승함에 따라 15개월 만에 증가(9.4%)세로 돌아섰다.
그러나 수출 증가세가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 코로나19 확산이라는 대형 돌발 악재가 등장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대 교역국인 대중국 수출은 코로나19가 퍼진 1월부터 두 달 연속 감소했다.
대중국 수출은 지난해 12월 3.3% 반등했다가 1월에는 -10.7%, 2월에는 –6.6%를 기록했다. 2월 중 미국(9.9%),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7.5%), 중남미(11.3%), 독립국가연합(CIS·12.2%), 인도(14.7%) 등 다른 지역으로의 수출이 호조세였던 것과 대비된다.
대중국 수출을 품목별로 보면 석유화학(-36.2%), 디스플레이(-42.0%), 자동차부품(-35.0%), 자동차(-36.3%) 등에서 급감했다. 산업부는 "코로나19 확산으로 대중국 수출이 일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며 "중국 춘제(설) 기간 연장에 따른 조업 제한과 가동률 저하로 실질적인 조업일수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중국발 코로나19의 확산으로 가장 타격을 입은 업종은 자동차와 디스플레이다. 중국으로부터 부품 수급에 차질을 빚어 국내 생산이 줄어드는 바람에 지난달 자동차 수출은 16.6% 감소했다. 디스플레이 수출도 중국의 모듈 공장 조업 중단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전환에 따른 여파로 21.8% 줄었다. 중국 내 원유 수요 감소에 따른 유가 하락으로 석유제품과 석유화학 수출도 각각 0.9%, 9.7% 감소했다.
코로나19가 급속도로 확산하는 가운데 3월 수출은 안개에 싸였다. 2월 반등도 조업일수가 늘어난 영향이 크기 때문으로 상승세가 꺾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하루 평균 수출액은 지난 1월 4.6%로 14개월 만에 반등했다가 2월에는 -11.7%로 다시 주저앉았다. 수출 비중이 큰 반도체도 코로나19 확산이 이어지면 수요 부진으로 3월 이후 플러스를 지속하기 어려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