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는 뒷걸음… 금리동결하고 설비 투자·수출 전망치 낮춰
건설투자는 SOC 확대에 소폭 상향… "불확실성 높아진 상황"

한국은행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3%에서 2.1%로 0.2%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지 않고 3월 중 정점을 찍은 뒤 진정된다는 것을 전제로 전망한 수치다. 또한 코로나19 확산의 충격이 1분기에 집중되면서 올해 1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관측됐다.
한은은 27일 발표한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코로나19 영향으로 성장세가 일시 위축되겠다"며 이와 같이 경기 상황을 진단했다. 한은은 "재정정책이 확장적으로 운용되고 설비투자가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코로나19)감염 사태가 진정된 이후 민간소비와 수출도 부진에서 벗어나면서 성장 흐름이 점차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현 수준(연 1.25%)으로 유지하기로 결정한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을 2.1%로 하향 조정한 것과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로 한 것은 코로나19가 장기화하지 않고 3월에 정점을 이룬 뒤 점차 진정된다는 전제로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다른 감염병 사태보다도 충격이 크리라 생각한다"며 "코로나19 영향으로 실물경제 위축은 벌써 나타나고 있는 것이 사실이고 과거 어느 때보다 충격이 클 것이고 그 영향이 1분기에 특히 집중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이어 "가장 크게 위축된 것이 소비이고 관광, 음식·숙박, 도소매업 등 서비스업이 가장 직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다"며 "1분기에 충격이 상당 부분 집중될 것으로 예상해 1분기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 동결 배경에 대해 "최근 국내 수요·생산 활동의 위축은 경제적 요인이라기보다는 감염에 따른 불안심리 확산에 주로 기인하기에 미시적인 정책이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라고 밝힌 뒤 "금리인하 여부는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할지를 더 엄밀히 살펴보며 결정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은이 시장의 예측과 달리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서두르는 만큼 추이를 지켜보자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사상최저 수준인 기준금리를 더 낮출 경우 외국인 투자자의 환차손 우려를 키워 코로나19가 급속도로 확산하기 시작한 금주에 증시에서 나타난 외국인의 자금유출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기준금리 인하가 산업계에 도움을 주기보다는 아직 꺾이지 않은 부동산 투기를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이런 경제상황을 감안해 상반기 경제성장률을 전년동기 대비 1.9%에서 1.1%로 0.8%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이와 달리 하반기 성장률은 2.2%에서 2.6%로 상향 조정함으로써 연간으론 당초 전망(2.3%)보다 0.2%포인트 낮은 2.1%로 예상했다.
이환석 한은 조사국장은 "코로나19 사태가 진행 중이어서 예단이 쉽지 않으나 단기적으로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하다"며 "2∼3월 실물경제가 크게 둔화하면서 1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작년 1분기(-0.4%)에 못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