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1천504조원중에 주택대출 12.6조 포함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시장이 과열되면서 지난해 4분기 가계 빚 증가 속도가 다시 빨라졌다. 아울러 가계 빚 총액은 지난해 말 현재 1600조원을 넘어섰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9년 4분기 중 가계신용(잠정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가계신용 잔액은 1600조1천억원으로 3개월 전보다 27조6천억원(1.8%) 증가했다. 분기별 증가금액 기준으로 2017년 4분기(31조5천억원·2.2%) 이후 2년 만에 최대 규모다.

지난해 분기별 가계신용 증가율은 1분기에 0.2%, 2분기 1.1%, 3분기 1.0%였다. 가계신용은 은행, 보험사, 대부업체, 공적 금융기관 등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이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까지 포함한 포괄적인 가계부채를 뜻한다.
2015년(10.9%)과 2016년(11.6%) 가파른 속도로 불어났던 가계신용은 대출 규제 여파로 2017년(8.1%), 2018년(5.9%), 2019년(4.1%·63조4천억원) 등으로 증가세가 둔화됐다. 그런데 지난해 4분기 증가율이 이전 분기들보다 높아지자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다시 빨라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았다.
지난해 4분기 가계신용 증가를 항목별로 살펴보면 판매신용을 제외한 가계대출 잔액이 23조원 늘어난 1504조4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주택대출이 12조6천억원 늘었고, 기타대출(일반신용대출 등 포함)은 10조4천억원 증가했다. 증가폭이 전 분기 대비 각각 3조1천억원, 6조5천억원 확대했다.
한은은 "주택매매 거래 증가, 전세자금 수요 지속 등으로 주택대출 증가 폭이 확대했고, 기타대출도 계절적 수요 및 주택거래 관련 부대비용 발생으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4분기 판매신용 잔액은 95조7천억원으로 4분기에 4조6천억원 늘었다. 연말 및 계절적 요인으로 전분기(2조4천억원)보다 증가폭이 커졌다.
한편 가계소득 대비 빚 부담을 측정하는 지표인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은 지난해 3분기 말 현재 96.6%로 2분기 말(95.6%)보다 1.0%포인트 높아졌다. 여전히 소득보다 빚이 빨리 늘어나고 있다는 의미다.
한은은 "가계부채 증가율이 최근 둔화했지만 명목 GDP 증가율을 다소 상회하고 있다"며 "정부의 부동산 대책(12·16 대책)은 시차를 두고 올해 2분기께부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