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수현 신임 정책실장의 활동반경을 놓고 여러 말들이 나오고 있다. 일단 여권과 청와대 주변에선 경제 전문가가 아닌 그가 발탁된 배경에 주목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의 오랜 동행으로 대통령의 숨소리도 해독하는 김 실장은 누가 뭐래도 ‘왕수석’에서 이번에 ‘왕실장’으로 더 힘이 세진 데 대해 이견이 없다.
그런데 경제운용에 대한 그의 역할에 대해선 의외의 소리가 나오는 것도 사실이다. 김동연과 장하성(이른바 김&장)의 불협화음을 의식한 청와대의 해석이다. 경제 콘트롤 타워엔 홍남기 재정경제부 장관 내정자의 ‘원톱’을 강조하고 있다. 윤영찬 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기자들의 예상 질문을 의식한 듯 알아서 설명하는 친절함을 보였다. 그는 “홍 내정자는 경제현장의 야전사령관 역할을 하고 김 실장은 대통령의 포용정책과 사회안전 인프라 등 좀 더 큰 그림을 그리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얼핏 보면 경제현장의 운용에 대한 김 실장의 입김을 최소화 하겠다는 뜻으로 보이지만 이번 인사에 대한 비난 여론의 직격탄을 일단 피해 보자는 청와대의 ‘수사(修辭)방어’로 관측된다. 대통령과 지근 거리에 있으면서 경제상태를 점검하고 대통령에게 보고하는 그가 앞으로 지연스럽게 경제정책에 개입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물론 도시공학과 환경 분야를 전공한 김 실장이라해서 꼭 경제정책에 소질이 없다고 말할 순 없다. 그러나 그의 행보나 그간의 정책 업적을 볼 때 김 실장이 그리 무게감을 주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이런 점에서 김 실장이 꺼저 가는 경제에 자극을 주고 대통령의 경제관을 좀 더 현실에 두는 쪽으로 제안하는 역할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공정과 포용, 이만큼 좋은 말이 어디 있겠는가. 그렇게 해서 경제가 풀린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하지만 경제는 뜬 구름 위가 아니라 아래에 있다는 점이다. 그런 점을 적지 않은 국민들이 걱정하고 있다.
한편 이번 인사에 이낙연 총리는 자신을 보좌하던 홍남기 국무조정실장을 부총리로 올려 자신의 존재감을 과시하는 한편 그 빈자리에 자신의 고교 후배를 기용해 이래저래 폼도 나고 고향 인재를 끌어안는 모습까지 보여 가장 남는 장사를 했다는 평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