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 비중 29%…日보다 높고 美보다 낮아
노인부양비 '세계최고'…‘노노(老老)케어’확산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가구 형태인 1인 가구의 36%가 월 소득 200만원 미만으로 경제적 여건과 주거 등 삶의 질 영역에서 열악한 상태로 조사됐다. 앞으로 50년 이내에 생산연령인구 1명이 고령인구 1명을 부양해야 하는 노년부양비 세계 최고 수준 국가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70대 이상 노인이 배우자나 부모 등 가족을 돌보는 ‘노노(老老)케어’가 확산하고 있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19'에 따르면 우리나라 1인 가구의 35.9%는 월 200만원 미만 소득자로 집계됐다. 1인 가구는 2018년 기준 585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29.3%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가구 형태다.
1인 가구는 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경우가 11.3%, 100만∼200만원 미만이 24.6%로 경제적 여건이 열악한 상태다. 1인 가구 중위소득은 175만7194원이다.
1인 가구는 일반 가구에 비해 단독주택 거주 비율(1인 가구 47.2%, 일반 가구 32.1%)이 높고, 아파트 거주비율(1인 가구 29.9%, 일반 가구 50.1%)이 낮다. 1인 가구의 주관적 만족감은 23.3%로 다인 가구 가구원(30.8%)과 크게 차이난다. 불만족을 표시한 비율은 29.7%로 다인 가구(21.8%)보다 높았다.

우리나라 1인 가구 비중(29%)은 2017년 기준 미국(27.9%)보다 높고, 일본(34.5% 2015년)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1인 가구가 급증하는 것은 결혼이 늦어지는 만혼과 결혼을 하지 않는 비혼(非婚)에다 이혼이 증가하고, 평균수명이 길어진 가운데 배우자를 잃고 혼자 사는 노인도 많기 때문이다.
한편, 통계청의 장래인구특별추계에 따르면 2015년 생산연령인구 약 6명이 고령인구 1명을 부양하는 사회에서 50년 이내에 생산연령인구 1명이 고령인구 1명을 부양하는 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렇게 되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노년 부양비를 가진 나라가 된다.
노인이 노인을 돌보는 이른바 ‘노노케어’도 확산하고 있다. 2016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 분석 결과 50세 이상 중고령자의 4.9%가 기본적인 일상생활능력(ADL) 제한으로 돌봄이 필요한 가족원이 있으며, 이 중 28.4%가 이런 가족원을 직접 돌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배우자와 부모를 직접 돌본 경우가 각각 56.6%, 36.4%로 노노케어 양상을 보였다. 특히 가족을 직접 돌본 50세 이상 중고령자의 58.6%는 70대 이상이었고, 이들 중 63.6%는 여성 중고령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