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전쟁과 글로벌 반도체 업황 부진 등의 악재가 이어지면서 수출이 11개월 연속 감소했다. 이로써 올해 연간 수출은 역성장이 거의 확실하고, 수출 6천억 달러 목표 달성도 어려워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월 중 통관 기준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7% 줄어든 467억8천만달러로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수출은 지난해 12월부터 줄곧 감소했다. 특히 지난 6월 이후 5개월째 두자릿수 감소율이 지속됐다. 전년 동월 대비 감소율은 2016년 1월(-19.6%) 이후 3년 9개월 만에 가장 컸다.
이로써 올해 수출은 2016년(-5.9%) 이후 3년 만에 '역성장'에 빠질 것이 거의 확실하다. 2년 연속 수출 6천억달러 목표도 사실상 물 건너갔다.
지난달 수입은 1년 전보다 14.6% 줄어든 413억9천만달러로 집계됐다. 수입은 지난 5월 이후 6개월째 하강 곡선을 그렸다. 수입도 2016년 1월(-20.3%)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을 기록했다.
이로써 무역수지는 53억9천만달러의 흑자를 내면서 93개월 연속 플러스 기조를 이어갔다. 그러나 무역흑자는 수입도 계속 줄어듦에 따른 것으로 '통상 불황'의 장기화가 반영된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품목별 수출은 반도체(-32.1%)와 석유화학(-22.6%), 석유제품(-26.2%), 자동차(-2.3%), 철강(-11.8%), 디스플레이(-22.5%) 등의 수출이 부진했다. 이와 달리 선박(25.7%)과 컴퓨터(7.7%), 바이오헬스(7.8%), 화장품(9.2%), 농수산식품(3.0%) 등 이른바 '신(新) 수출 성장 품목'은 호조세를 이어갔다.
지역별로는 미중 무역전쟁 탓에 중국(-16.9%)과 미국(-8.4%)에 대한 수출이 줄어든 데 비해 베트남(0.6%)과 CIS(24.1%) 등 신흥시장은 증가했다. 특히 중동 수출은 14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지난달 일본에 대한 수출은 13.8% 줄어들어 최근 감소세가 이어졌는데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강화에 따른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는 지난달 수출이 비교적 큰 폭으로 감소했지만, 거의 바닥을 통과하면서 다음달부터는 상승 기류를 탈 것으로 기대했다.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회복세를 보이는 데다 미중 무역분쟁의 1단계 협상이 타결될 가능성이 점쳐지기 때문이다. 선박과 자동차, 석유제품 등의 수출이 늘어나면서 내년 1분기 수출은 증가세로 돌아서리란 전망도 나온다.
특히 지난달 수출 감소 속에서도 하루 평균 수출액은 두 달 연속 20억달러대를 유지한 데다 무역수지도 2개월째 50억달러를 넘어서면서 반등 조짐이 가시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수출액은 줄었으나 수출물량은 견조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