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서초구 전세는 5건 중 1건이 9억원 이상

최근 5년 사이 전국의 9억원 이상 고액 전세거래가 4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감정원이 자유한국당 김상훈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9억원 이상 전세 거래 건수는 2014년 1497건에서 지난해 6361건으로 4.2배 증가했다.
특히 고액 전세가 몰려 있는 서울의 경우 2014년 1477건이던 9억원 이상 전세 거래 건수가 2018년에는 5894건으로 급증했다. 이는 지난해 서울지역 전체 전세 거래건수(17만4044건)의 3.4%에 이르는 수치다. 과천·분당 등 집값 상승의 여파로 경기도의 고액 전세도 2014년 20건에서 2018년에는 418건으로 증가했다.
지방에서는 대구가 지난해 기준 32건으로 가장 많은 고액 전세가 거래됐다. 부산은 2017년 처음 6건이 신고됐고, 지난해 12건으로 2배 증가했다. 인천은 2017년 8건에서 2018년에는 5건으로 감소했다.
서울의 고액 전세는 주로 강남 3구(5천건)에 몰렸다. 강남구는 지난해 신고된 전세거래(1만2658건)의 19.4%인 2455건이, 서초구는 전체의 18.28%인 1933건이 9억원 이상 고액 전세였다. 강남·서초에서 작년 거래된 전세의 5건 중 1건 꼴로 9억원 이상 거래였다.
강북에서 인기가 높은 이른바 '마용성'의 고액 전세도 2014년 64건에서 지난해 477건으로 불어났다. 지난해 기준 용산구가 206건, 마포구 139건, 성동구 132건 순이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