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경제연구원은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을 2.0%에도 못 미치는 1.8%로 전망했다.
LG경제연구원은 26일 발표한 '2020년 국내외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내년에도 수출부진이 이어질 전망"이라며 "수출둔화 여파로 수익성이 낮아진 기업들이 투자와 고용을 줄이면서 내수경기에도 부진이 확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원은 올해 성장률 전망을 지난 4월에 내다봤던 2.3%에서 2.0%로 낮춘 데 이어 내년은 이보다 낮은 1.8%에 머물 것으로 봤다. 경기가 내년에 더 나빠질 것으로 보는 경제예측기관은 모건스탠리(올해 1.8%·내년 1.7%), 국가미래연구원(올해 2.2%·내년 1.9%) 등이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 세계경제 성장률이 올해보다 낮아지고, 미중 무역분쟁도 해소되지 못하면서 수출부진은 이어질 전망이다. 성장세와 교역량 증가세가 둔화하면서 반도체 경기 반등도 어려우리란 진단이다.
수출부진은 내수 침체로 연결될 것으로 예상됐다. 수출둔화로 기업들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하는 가운데 투자가 줄고 제조업 고용여건도 나빠질 것이기 때문이다. 최근 취업자 수 증가폭이 커졌지만 이는 고용시장의 추세적 회복으로 보기 어려우며, 60대 이상 고령층과 단기 근로자 중심으로 노동 공급이 증가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취업자 수는 올해 25만명, 내년 15만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내년부터 생산가능인구 감소가 본격화해 내구재를 중심으로 소비 활력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어느 나라든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생산은 물론 소비 활동에 있어서도 주축이다. 한국에 앞서 일본도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드는 시점을 전후로 수요가 급격히 위축되며 성장률이 둔화됐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민간소비는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임금 상승세 둔화 속에 올해 2.0%에서 내년 1.6%로 증가율이 둔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설비투자 증가율은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에 투자심리가 반등하지 못하면서 올해 -8.7%, 내년 -0.1%로, 건설투자도 주택건설 투자 감소로 올해 -3.4%, 내년 –2.7%로 감소세를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예측됐다. 수출(통관 기준)은 교역환경 악화로 증가율이 올해 –9.9%까지 떨어지는 데 이어 내년에는 –0.6%로 전망됐다.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는 올해 0.5%, 내년 0.8%로 제시됐다. 물가상승률이 낮아지는 근본 원인은 경기 부진이며, 고령화로 전반적인 수요가 둔화돼 인플레이션율이 마이너스(-)로 나타나는 일이 잦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처럼 저물가 기조가 장기화하면 디플레이션 리스크는 커질 것이라고 연구원은 우려했다.
한편 세계경제 성장률은 작년 3.6%에서 올해 3.1%, 내년 2.9%로 낮아진다고 전망했다. 올해는 독일과 중국 등 제조업 국가를 중심으로 경기위축이 심했다면 내년은 미국, 프랑스, 스페인 등 소비 비중이 큰 국가들도 내림세를 겪으리란 전망에서다. 글로벌 경기 부진으로 주요국 중앙은행은 통화정책의 완화 기조를 이어갈 전망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올해 한 차례, 내년 두 차례 정책금리를 내릴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은행도 올해 한 차례, 내년 두 차례 금리를 내리면서 기준금리가 0%대로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연구원은 내다봤다. 내년 원․달러 환율은 연평균 달러당 1220원 선으로 예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