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께 원자력보다 낮아질 가능성도
국회 예산정책처는 23일 국내 사업용 태양광 발전의 균등화발전비용(LCOE)이 5년 후인 2023년부터는 1kWh당 100원 밑으로 떨어질 것이란 분석을 내놨다.
‘균등화발전비용’이란 설비투자비, 운전 유지비, 연료비, 정책비용 등 발전에 드는 모든 비용을 발전량으로 균등화한 개념으로 대개 100원 밑이면 어느 정도 경제성을 갖추는 것으로 이해된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이번에 지난 2005년부터 올해 10월까지 6개 발전공기업이 실제 설치한 태양광 사업 95건의 사업비 자료 등을 활용해 분석했다. 그 결과 2005년 태양광 균등화발전비용은 1kWh당 1천144원으로 1천원이 넘었다.
하지만 이후 점차 떨어져 지난 2014년(171원)부터는 100원대로 진입했다. 올해 태양광 발전의 균등화발전비용(LCOE)은 1kWh당 121원으로 나타났다.
또 국회 예산정책처는 "2005년부터 올해까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3년 이후 태양광 발전비용은 1kWh당 100원 이하로 낮아지고 2030년에는 84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원전 균등화발전비용이 작년 말 기준 1kWh당 55.7∼65.7원에서 오는 2030년께 63.8∼73.8원 정도로 오를 것으로 분석한 바 있다. 태양광과 원전의 경제성 격차가 2030년께 좁혀지고 이후에는 역전될 가능성도 있다는 얘기다.
1kWh당 균등화발전비용이 100원 밑으로 떨어지는 시점이 한국은 2023년으로 예상됐지만 미국·영국은 2020년에 이미 71.2원과 97.5원 수준으로 내려갈 전망이다.
태양광 발전 비용을 낮추고 보급을 늘리기 위해선 무엇보다 먼저 높은 토지비용, 지역주민과의 마찰, 태양광 폐 패널 처리비 상승 등의 문제 해결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