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8일 "우리 경제의 향후 성장 동력을 어디서 찾아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더는 대처를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본부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송년 만찬에서 이 같이 말했다.
그는 또 "작년 이후 반도체 호황이 우리 경제의 성장세를 지탱하고 있지만 이것도 얼마만큼 지속할지 자신할 수 없다"며 “3∼4년 또는 5년 후를 내다보면 걱정이 앞선다”고 밝혔다. 이어 "반도체 경기가 급락하고 일부 어려움을 겪는 업종에서 치고 나가지 못하면 우리 경제가 어떻게 될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새로운 선도 산업의 육성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면서도 이를 위한 규제 완화와 투자 확대는 당사자들의 이해 상충, 관행 등에 가로막혀 그 성과가 미진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그 예로 “카카오택시, 카풀제 등 특정 부문에 들어가 보면 나름대로 애로가 있을 것이고 정부가 여러 결정을 할 때 정말 쉽지 않겠구나 라는 생각이 든다”고 털어 놓았다.
그는 “하지만 한 걸음 한 걸음씩 차근차근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내년 거시경제 흐름이 올해보다 크게 악화할 것 같지는 않아 보이지만 성장 경로에 여러 가지 리스크가 잠재해있는 건 사실"이라며 "정부가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통해 투자 활력을 높이기 위한 여러 대책을 내놓고 있는 만큼 상·하방 리스크가 다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지난달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것에 대해선 "금융 불균형 확대로 우리 경제의 취약성이 한층 커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또 급속한 고령화에 우려를 표시했고 주요 대외리스크로는 미국의 금리 인상, 미중 무역 분쟁 등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