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5년간 전체 소비자물가가 10%대 상승하는 사이 먹거리 물가는 20%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장인들의 점심 메뉴인 외식 품목 대부분이 급등하면서 '런치플레이션'(런치+인플레이션)이 심화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외식 부문 소비자물가지수를 100으로 볼 때 지난 5월 지수는 124.56으로 약 25%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16%)의 1.5배다.
39개 외식 품목 중에서 김밥(38%)과 햄버거(37%)가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떡볶이, 짜장면, 생선회, 도시락, 라면, 갈비탕 등 30% 이상 오른 품목이 9개다. 짬뽕, 돈가스, 칼국수, 비빔밥, 치킨, 설렁탕도 가격 상승률이 30%에 육박한다.
30%대의 상승률을 나타낸 품목에 냉면, 김치찌개, 된장찌개, 삼겹살 등 20% 이상 오른 품목을 더하면 30개에 이른다. 구내식당 식사비도 24% 올랐다.
지난 5년 간 먹거리 재료인 농축수산물이 22% 상승한 것과 비교해도 외식 물가 상승률은 가파르다. 같은 기간 가공식품은 24% 상승했다.
외식 물가가 급상승 요인으로 식자재비와 인건비 상승이 지목된다. 기후변화로 원재료 공급의 변동성이 커지고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수입 단가가 오른 가운데 축산물과 수산물 가격이 약 20% 상승했다. 밀가루, 치즈, 설탕 등 가공식품도 큰 폭으로 올랐다.
롯데리아와 맥도날드는 지난 3월 1년도 되지 않아 재차 가격을 인상하면서 환율과 원재료 비용 상승을 이유로 꼽았다. 스타벅스, 메가커피, 컴포즈커피, 빽다방 등 커피 브랜드도 연초부터 가격을 올리면서 고환율과 국제 원두 시세 급등을 이유로 제시했다.
배달 비용도 외식 물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일부 업체에서 배달앱 수수료 때문에 매장 가격과 배달 메뉴 가격을 다르게 책정하는 이중가격제(배달가격제)를 도입하고 있다"며 "특히 도시락 업체의 이중가격제 도입으로 지난해 11월 도시락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대비 11.1% 상승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