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아파트값이 강남 3구·용산구 외에도 2020∼2021년 '미친 집값' 당시 고점을 넘어서는 지역이 잇따르고 있다. 강남 3구와 용산구의 집값이 이미 올라 진입하기 어렵자 마포·성동·강동·광진·동작·성동·영등포구 등 한강 벨트를 따라 매수 수요가 확산하는 모습이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를 보면 서울 강남·서초·송파·마포·용산·성동·양천 7개 구 아파트값이 매주 고가를 새로 쓰고 있다. 7개 구 중 가장 최근 전고점을 돌파한 지역은 마포다. 5월 넷째 주 아파트 매매가격지수가 101.4로 2022년 1월의 전고점(101.29)을 넘어섰다.
양천구는 5월 둘째 주(100.83)에 전고점(100.73, 2022년 1월)을 돌파했다. 강남 3구와 성동구 아파트값은 이미 지난해 여름 전고점을 회복한 뒤 상승세를 이어졌다. 용산구도 지난해 10월 전고점을 넘어섰다.
이들 지역은 '똘똘한 한 채'가 주목받으며 갈아타기 수요가 몰리는 곳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 이후에도 서울 집값이 잡히지 않고 있다. 6월 둘째 주(9일) 기준 전고점 대비 아파트값 회복률은 광진구가 99.5%로 가장 높다. 이어 강동(99.2%), 영등포(98.5%), 동작(98.1%), 종로(94.2%), 동대문(92.7%)구의 순서다.
상대적으로 회복률이 낮은 노·도·강의 경우 80%대 중반(강북 86.5%, 노원 85.7%, 도봉 82.7%) 수준이다. 경기도에선 과천 아파트값이 5월 넷째 주 전고점을 돌파했고, 분당은 98.8% 수준의 회복률을 보였다.
집값이 오르자 정부는 규제지역 확대 등 가능한 정책 수단을 동원해 대응할 태세다. 하지만 아직 관계 부처 장·차관 인선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시장은 새 정부가 부동산 대책을 내놓는 시기를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