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12일(현지시간)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철강 파생제품에 50%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국내 가전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주력 수출품목 다수가 관세 인상 대상에 포함된 데다 적용 시점이 23일로 임박해 북미 시장을 겨냥한 생산·유통 전략의 조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미국 상무부는 이날 연방 관보를 통해 50% 관세 부과 대상인 철강 파생제품 목록에 냉장고, 건조기, 세탁기, 식기세척기, 냉동고, 조리용 스토브, 레인지, 오븐 등을 새로 추가했다. 해당 품목에 대한 관세는 오는 23일부터 적용된다.
미국의 고율 관세 사정권에 든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가전업계는 관세 부과의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두 기업 모두 미국에 생산기지를 두고 있지만 현지 생산은 세탁기 등 일부 제품에 한정되어 있다. 이 밖의 주요 제품은 한국, 멕시코, 베트남 등에서 생산해 미국에 수출하기 때문에 관세 부담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가전제품은 철강 비중이 큰 제품군이라서 이번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는 제조원가 상승과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LG전자는 지난 1분기 실적 콘퍼런스 콜에서 "제조 원가 개선, 판매가격 인상 등 전체 로드맵은 이미 준비돼 있다"며 판매가격 인상 가능성을 내비쳤다. LG전자는 세탁기, 건조기 물량을 테네시 공장으로 점진적으로 이전함으로써 미국 내 가전 매출의 10% 후반 수준까지 현지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는 1분기 실적 콘퍼런스 콜에서 TV·가전 분야 관세 대응책과 관련해 "프리미엄 제품 확대를 추진하고 글로벌 제조 거점을 활용한 일부 물량의 생산지 이전을 고려해 관세 영향을 줄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