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이 새 정부의 2차 추가경정예산 편성 등 재정 확대 정책과 미국-중국 간 무역 갈등 완화 움직임 등을 반영해 한국 경제의 성장률 전망치를 잇달아 상향 조정하고 나섰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지난달 16일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7%에서 1.1%로 0.4%포인트(p) 높였다. 골드만삭스는 "미국의 관세 리스크 완화, 미국과 중국의 성장 전망 상향, 한국의 재정 부양 가능성 등을 반영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세부적으로 중국 수출이 5% 회복되면 한국의 대(對)중국 수출이 약 1.6%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면서 이는 올해 한국의 성장률을 0.1%p 높이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았다. 아울러 국내총생산(GDP)의 0.5% 규모(약 13조8000억원)인 1차 추경에 이어 2차 추경이 GDP의 최소 1% 규모로 편성될 것으로 예상했다. 경기를 부양하기 위한 대규모 추경이 성장률을 0.3%p 정도 끌어올릴 것으로 골드만삭스는 추정했 다.
바클리는 지난달 30일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9%에서 1.0%로 0.1%p 높였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1.4%에서 1.7%로 상향 조정했다. 이런 성장률 상향 조정은 한국은행이 지난달 29일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5%에서 0.8%, 1.8%에서 1.6%로 각각 낮춘 것과 반대여서 주목된다.
바클리도 골드만삭스와 마찬가지로 재정정책 효과를 언급했다. 6·3 대선 전이라서 "누가 당선되든 확장 재정이 공통적인 핵심 기조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확장 재정이 물가상승을 유발할 경우 한은의 통화정책 운용을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모건스탠리도 지난달 22일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0%에서 1.1%로, 내년 전망치를 1.4%에서 1.5%로 각각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