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뜩이나 중국산의 저가공세로 어려움 겪고 있는 국내 철강업계 타격 불가피 해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미국으로 수입되는 외국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25%에서 50%로 높이는 포고문에 서명하면서 '미국발 철의 관세 장막'이 현실화했다.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에 수출하려면 50% 관세를 내야 하는 국내 철강업계의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주요 수출품인 철강·알루미늄 50% 관세 부과 문제는 새 정부의 대미 통상협상에서도 현안으로 등장했다. 통상협상 과정에서 미국 내에서 수입 철강제품을 써야 하는 제조사나 수입업자들도 50% 관세가 부담스럽다는 점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철강 제품의 대미국 수출 비중은 13.06%로 1위다. 일본(11.45%), 중국(9.95%), 인도(8.01%), 멕시코(7.55%) 등을 앞섰다. 미국 입장에서도 철강 주요 수입국 가운데 한국의 비중(2024년 기준) 캐나다(16%), 중국(15.4%), 멕시코(12.9%)에 이어 네 번째(6.2%)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는 3월 12일(현지시간)부터 수입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품목관세를 부과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철강 수출은 직격탄을 맞았다. 올해 1∼4월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13억84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2% 감소했다. 관세 부과 영향이 본격화된 5월의 대미 철강 수출은 20.6% 감소했다.
당장 미국 시장에서 물량을 소화하지 못하는 중국산 저가 철강 제품의 공습이 가속화할 전망이다. 유럽연합(EU) 등 기타 시장에서 연쇄적으로 무역장벽이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 EU는 지난 3월 미국 행정부가 철강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자 역내 철강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철강 수입량 제한을 위한 '세이프가드' 조치를 강화했다.
철강업계는 트럼프 정부의 고율 관세 조치가 외국 기업의 미국 현지 투자를 압박하기 위한 충격요법으로 해석한다. 일본제철은 미국 정부의 US스틸 인수 승인을 전제로 신규 제철소 건설을 포함해 US스틸에 140억달러(약 19조5000억원)를 투자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한국도 철강업계 1·2위인 포스코그룹과 현대제철이 미국 현지 생산 확대를 꾀하고 있다. 양사는 공동으로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일관 제철소를 건설할 계획으로 투자 규모는 8조5000억원이다. 다만 해당 일관제철소의 상업생산 목표 시점이 2029년인 만큼 그전까지 국내 철강업계가 생존을 위한 전략적 판단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