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GM이 운영 효율화를 이유로 국내 직영 서비스센터와 인천 부평공장 일부 시설 매각을 결정한 가운데 모그룹인 GM이 미국 내 생산설비에 대한 대규모 투자에 나서 면서 한국GM 철수설이 또다시 힘을 얻는 모습이다.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한국GM은 28일 운영 효율화를 위해 직영 서비스센터와 일부 생산시설을 매각한다는 계획을 임직원에 공지했다. 한국GM은 전국 9개 GM 직영 서비스센터를 순차적으로 매각하는 한편 부평공장의 유휴 자산 및 활용도가 낮은 시설과 토지 매각을 위한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헥터 비자레알 GM 아태지역·한국사업장 사장은 "유휴 자산의 가치 극대화와 적자 서비스센터 운영의 합리화가 회사의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하다"며 "급변하는 산업 환경에서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해관계자들과 협의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국GM의 자산 매각 결정은 모그룹인 GM이 미국 엔진공장에 대한 신규 투자 계획을 밝힌 가운데 나왔다. 오토모티브뉴스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GM은 28일(현지시간) 내연기관 엔진 생산 증대를 위해 뉴욕주 버팔로 소재 토나완다 엔진공장에 8억8800만달러(약 1조2000억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GM은 이번 투자가 픽업트럭과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사용되는 6세대 V-8 엔진을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캐시 호컬 뉴욕 주지사도 GM의 투자 계획을 확인하며 전동화 전환으로 위험에 처한 177개 일자리를 포함해 870개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GM의 현지 엔진공장 투자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및 친환경차 후퇴 기조와 더불어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둔화)에 따른 전동화 속도 조절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GM은 전기차 구동장치 생산을 위해 토나완다 공장에 3억달러(4125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런데 이를 백지화하고 3배에 이르는 금액을 내연기관 엔진 생산에 투자하는 것은 전동화를 비롯한 GM의 사업계획의 대전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자동차업계는 관측한다. 특히 이런 사업계획 조정이 수익성이 악화된 한국GM의 철수로 이어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