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물산업 7252억달러 규모…2030년까지 18조달러 투자 예상
국내 물 산업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돼 물 공급과 사후 처리 등과 관련된 소위 물 산업 발전을 촉진하게 됐다. 환경부는 4일 '물 관리 기술 발전 및 물 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이하 물산업진흥법) 시행령이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시행령은 오는 13일부터 시행된다. 물산업진흥법은 지난 6월 제정됐고, 시행령과 같은 날 시행에 들어간다.
물 산업은 가뭄 등의 물 문제 해결뿐 아니라 신성장동력 발굴을 뒷받침할 핵심 산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물산업진흥법과 시행령에는 '물 산업 강국' 달성에 필요한 다양한 진흥 정책이 담겨 있다.

물산업진흥법과 시행령은 물 산업 제품에 대한 검증·평가를 거쳐 성능이 확인된 제품은 3년 동안 우수 제품으로 지정해 사업화를 지원토록 하고 있다. 연구개발(R&D) 투자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중소기업을 '혁신형 물 기업'으로 지정해 5년 동안 지원하는 제도도 들어 있다.세계적인 물 연구기관인 세계적인 물연구기관인 GWI(Global Water Intelligence)에 따르면 세계 물 산업 시장 규모는 작년 기준 7천252억달러(약 805조원)로 이르며 2022년까지 연평균 4.2% 성장할 것으로 예측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011∼2030년 사이 물 산업에 대한 예상 투자 규모가 18조달러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국내 물 기업의 약 72%는 10인 미만의 영세 사업체로 파악됐다. 기술 혁신과 해외 진출 역량을 확보하기 힘들어 물 산업 발전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책이 시급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