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달러 환율과 국제유가 상승 여파로 1월 생산자물가가 1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국내 공급 물가도 넉 달째 상승해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우려된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18(2020년 100 기준)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2월(119.52)보다 0.6% 상승했다.
생산자물가는 지난해 11월(0.1%) 이후 석 달 연속 상승했다. 1월 오름폭은 2023년 8월(0.8%) 이후 17개월 만에 가장 컸다. 전년 동월 대비로도 1.7% 상승해 18개월째 오름세가 이어졌다.
전월 대비 품목별 등락률을 보면 농림수산품이 4.0% 상승했다. 농산물(7.9%)과 수산물(1.4%)이 출하 물량 감소 여파로 올랐다.
공산품은 0.6% 상승했다. 국제유가 등 원재료 가격이 오르면서 석탄 및 석유제품(4.0%)과 1차 금속제품(1.2%) 등이 상승한 영향이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은 하수처리(2.8%)가 올랐지만 산업용 도시가스(-2.5%)가 내려 전월 대비 보합세였다.
서비스업은 정보통신 및 방송서비스(0.7%)와 사업지원서비스(1.1%)를 중심으로 0.4% 상승했다.
세부 품목으로 보면 딸기(57.7%), 감귤(26.5%), 물오징어(8.4%), 멸치(13.9%), 원두커피(8.4%), 경유(7.7%), 휘발유(5.6%), 부타디엔(9.3%), 휴양콘도(18.0%) 등이 큰 폭으로 올랐다. 이와 달리 돼지고기(-5.0%), 원화수입수수료(-22.4%)는 하락했다.
한은은 향후 생산자물가에 대해 "2월 들어 국제유가와 환율이 1월 평균보다 다소 내렸지만, 월말까지 얼마나 변동할지 불확실성이 있어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수입품을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지난해 12월보다 0.6% 상승했다. 원재료(0.7%), 중간재(0.5%), 최종재(0.6%) 모두 올랐다.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넉 달 연속 올랐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1월 총산출물가지수도 0.7% 상승했다. 공산품(0.8%)과 서비스(0.4%) 등이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