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서 조사…4060세대는'건강·생활가전'선호해

소비시장 전반에 구독경제가 확산하는 가운데 2030 세대가 가장 구독하고 싶은 서비스는 '생성형 AI', 4060세대는 '건강·생활가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글로벌 시장조사기업 마크로밀 엠브레인과 함께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9일 발표한 '소비자 구독 서비스 이용실태 조사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94.8%가 구독 서비스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가장 많이 경험한 구독 서비스(복수 응답)는 동영상 스트리밍(60.8%)이었다. 이어 쇼핑 멤버십(52.4%), 인터넷·TV 결합 상품(45.8%), 음원 및 도서(35.5%), 정수기(33.8%), 외식 배달(32.5%) 순서였다.
1인당 구독 개수는 3∼4개(39.8%)가 가장 많았다. 이어 1∼2개(33.9%), 5∼6개(17.2%), 7개 이상(9.1%)의 순서로 나타났다.
월간 구독료는 3만원 미만(30.5%)이 가장 많았고, 15만원이 넘는다는 응답도 14.9%였다. 이밖에 응답자의 22.9%는 3∼5만원, 22.3%는 5∼10만원, 9.4%는 10∼15만원을 구독료를 낸다고 응답했다.
새로 구독하고 싶은 서비스(복수 응답)는 세대별로 차이가 있었다. 20대는 생성형 AI(23.0%), 건강·생활가전(18.0%) 순서로 꼽았다. 30대는 가사 서비스(20.5%), 생성형 AI(19.5%) 순서였다. 2030 세대를 합하면 생성형 AI(21.3%)를 신규 구독하고 싶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와 달리 40∼60대는 건강·생활가전을 1위로 꼽았다. 합산 응답률은 25.0%였다. 40대와 60대는 건강·생활가전에 이어 가구(각 21.0%, 20.0%) 구독을 선호했고, 50대는 생성형 AI(20.5%)를 구독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대한상의는 "학습 및 자기 계발에 관심이 높은 2030 세대와 건강을 중시하는 4060 세대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이 반영된 결과"라며 "과거 콘텐츠 중심 수요가 높았다면 지금은 생활밀착형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구독 서비스의 장점(복수 응답)으로 최신 제품과 서비스 이용(69.9%),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64.9%), 초기 저렴한 비용(58.8%) 등이 꼽혔다. 단점으로는 월정액 관리 부족으로 인한 낭비(77.4%), 해지 어려움(47.2%) 등이 지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