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달러 환율과 국제유가 상승 여파로 수입물가가 넉 달 올랐다. 수입물가 오름세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향후 물가 관리에 부담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1월 수출입물가 통계에 따르면 1월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 2020년 100 기준)는 145.22로 지난해 12월보다 2.3% 상승했다. 수입물가지수는 지난해 10월부터 넉 달째 올랐다.
1월에는 원재료(4.4%), 중간재(1.6%), 자본재(0.8%), 소비재(1.0%) 등이 일제히 상승했다. 품목별로 광산품(4.5%), 석탄 및 석유제품(3.5%), 화학제품(2.0%) 등의 수입물가 상승률이 높았다. 구체적으로 원유(11.4%), 벙커C유(5.7%), 수산화알루미늄(7.9%) 이차전지(6.1%), 선박용 엔진(4.5%) 등의 오름세가 컸다.
한은은 원/달러 환율과 국제유가 상승 여파로 수입물가가 올랐다고 분석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12월 평균 1434.42원에서 올해 1월 1455.79원으로 1.5% 올랐다. 국제유가도 두바이유 기준(월평균, 배럴당) 73.23달러에서 80.41달러로 9.8% 상승했다.
1월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는 지난해 12월(133.56)보다 1.2% 높은 135.12로 집계됐다. 수출물가도 넉 달 연속 상승했다.
품목별로 보면 공산품이 석탄 및 석유제품(7.3%), 화학제품(1.4%), 전기장비(1.6%) 등을 중심으로 1.2% 오른 가운데 농림수산품은 0.8% 하락했다. 구체적으로 경유(8.7%), 제트유(10.5%), 테레프탈산(6.4%) 등의 상승률이 높았다. 신선 수산물은 7.7%, 플래시메모리는 11.9% 각각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