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기관의 정규직 채용 규모가 5년 연속 줄며 지난해 2만명 아래로 내려갔다.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따르면 지난해 339개 공공기관이 채용한 일반 정규직은 1만9920명이었다. 신규 일반 정규직 채용은 2019년 4만116명에서 코로나19 사태가 터진 2020년 2만9480명으로 줄어든 뒤 꾸준히 감소해 2023년 2만207명에 그쳤고 지난해엔 1만명대로 내려갔다.
지난해 신규 일반 정규직 중 청년은 1만6429명으로 전체의 82.5%였다. 이 비중은 2020년(74.8%) 이후 4년 만에 가장 낮았다.
정부의 지난해 공공기관 신규 채용 목표는 2만4000명(청년 2만명)이었다. 결국 청년 신규 채용 부진이 전체 목표 달성 실패로 이어졌다.
공공기관 신입사원 초임 평균은 지난해 3872만원으로 2023년(3819만원) 대비 소폭 올랐다. 공공기관을 관리·감독하는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초 청년고용 한파 속 공공기관 일자리가 버팀목 역할을 하도록 하겠다며 신규 채용이나 청년인턴 운영 성과가 우수한 기관에 경영평가 가점을 신설했다. 아울러 퇴직·이직 등으로 빈자리가 나면 수시 채용하도록 독려했다.
그럼에도 지난해 신규 채용이 뒷걸음하며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것은 공공 의료기관에서 채용을 크게 줄였기 때문이라고 정부는 분석했다. 지난해 교육부 산하 11개 병원은 2023년보다 40.7%(2214명) 감소한 3228명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했다.
전남대학교병원(-415명)·충남대학교병원(-330명)·경상국립대학교병원(-299명)·전북대학교병원(-257명) 등에서 채용 감소 폭이 특히 컸다. 기재부는 "코로나19 사태 때 수요가 많았던 의료 인력, 특히 간호사 채용이 많았는데 팬데믹이 끝난 뒤 추가 인력이 필요하지 않아 채용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지난해 의대 증원을 두고 촉발된 의정 갈등이 공공 의료기관의 수익 감소로 이어진 점과 공공기관도 민간 기업처럼 당장 업무에 투입할 수 있는 경력직을 선호하는 경향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