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충격 영향 4분기 0.1% 성장 그쳐 기존 한은 전망치보다 0.4%p 낮아

비상계엄 여파와 내수 부진 영향으로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가 2% 성장하는 데 그쳤다. 2023년 성장률(1.4%)보다는 높지만 지난해 11월 한국은행이 전망한 2.2%보다 0.2%포인트(p) 낮다.
한국은행은 23일 지난해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 대비·속보치)이 0.1%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한은 전망치(0.5%)보다 0.4%p 낮은 것이다. 4분기 성장률 쇼크로 지난해 연간 성장률도 2.0%에 그쳤다. 한은은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부진에 비상계엄 이후 정치 불안이 겹쳐 경기가 위축됐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는 의류·신발 등 준내구재와 의료·교육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0.2% 늘었다. 정부소비도 건강보험급여 등 사회보장 현물 수혜 위주로 0.5% 증가했고 설비투자도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기계류의 호조로 1.6% 성장했다. 하지만 건설투자는 건물·토목 동반 부진으로 3.2% 뒷걸음쳤다.
4분기 성장률에 가장 크게 기여한 부문은 설비투자(0.2%p)였다. 민간소비(0.1%p)·정부소비(0.1%p)·순수출(수출-수입·0.1%p)도 플러스(+)를 기록했다. 반면 건설투자는 성장률을 0.5%p 깎아내렸다.
업종별로는 제조업(0.1%)과 서비스업(0.3%)이 성장한 반면 농림어업(-3.9%)과 전기·가스·수도업(-2.9%), 건설업(-3.5%)은 뒷걸음쳤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