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대통령 "협치가 가장부족" …정기국회서 입법성과 낼지 주목
'여야정 국정 상설협의체'가 5일 오전 첫 회의를 열고 공식 출범했다. 협의체는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5당 원내대표가 정례적으로 모여 국정 전반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는 협치 테이블로 앞으로도 잘 열리게 될지 주목된다.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첫 회의는 문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자유한국당 김성태,바른미래당 김관영, 민주평화당 장병완, 정의당 윤소하 원내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오찬을 포함해 총 158분간 이어졌다. 문 대통령과 여야 원내대표들은 비공개 회동을 이어가며 대북 및 경제정책, 원전정책, 복지정책 등 국정 전반에 걸쳐 토론을 벌였다.
문 대통령은 모두발언을 통해 "특히 요즘은 경제와 민생이 어렵고, 남북관계를 비롯해 국제정세가 급변하고 있어 협치를 바라는 국민의 기대가 높다"면서 대북 및 경제정책에 대한 야당의 협조를 요청했다. 대북 정책과 관련, "국회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방문을 환영하는 합의문을 발표해 주면 좋겠다"는 의견도 냈다.
하지만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소득주도성장 정책으로 고용 참사가 발생하고 경제지표가 악화하고 있다. 남북 군사합의서나 평양공동선언을 청와대에서 비준한 부분은 상당히 안타깝고 실망스러웠다"고 비판했다. 문 대통령과 김 원내대표는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놓고 상당 시간 토론했으며 문 대통령은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을 바꿀 순 없다"고 반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적어도 석 달에 한 번씩은 모이는 걸 제도화 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논의할 게 있으면 중간에라도 만나자는 게 내 뜻"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