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정부의 경기 진단이 한층 어두워졌다. 지난해 12월 고용 상황이 급격히 악화한 데다 고환율로 물가마저 상승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는 17일 내놓은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월호에서 최근 경제 상황을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경제심리 위축 등으로 고용이 둔화하고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세계 경제와 관련해서도 "전반적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지정학적 리스크가 여전한 가운데 통상환경 변화 가능성 등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12월 그린북과 비교하면 '고용 둔화' 진단이 추가됐고, 경제 상황에 대한 우려가 짙어졌다. 경기 하방 압력도 '우려가 있다' 대신 '증가하고 있다'는 표현으로 더 부정적이었다. 지난해 12월 '경기 회복' 문구를 14개월 만에 삭제한 데 이어 더 어두워진 경기 진단을 내놓았다.
정부의 잿빛 경기 진단에는 15일 발표된 고용동향이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2월 취업자는 전년 동기 대비 5만2000명 감소하면서 3년 10개월 만에 뒷걸음질했다. 괜찮은 일자리인 제조업(-9만7000명)과 불황인 건설업(-15만7000명) 취업자가 큰 폭으로 줄었다. 실업자가 17만1000명 늘면서 실업률이 3.8%로 0.5%포인트(p) 상승했다.
고환율 여파로 인플레이션 압력도 커졌다.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1.9%)은 1%대는 지켰지만 11월(1.5%)보다 상승 폭을 키웠다.
계엄과 탄핵 여파로 소비심리가 냉각돼 내수 부진도 이어질 전망이다. 지난해 12월 소비자심리지수가 88.4로 11월(100.7)보다 큰 폭으로 떨어졌다. 신용카드 사용 내역을 보면 여행과 숙박 등 대면 소비가 급격히 위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