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연 "벼 재배면적 8만㏊ 줄어도 농가 소득 작년보다 2.6% 증가"

정부 계획대로 올해 벼 재배면적이 8만㏊(1㏊는 1만㎡) 줄면 한 해 농업생산액은 약 60조원으로 지난해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이 16일 내놓은 '농업전망 2025'에 따르면 벼 재배면적 감축 목표치를 달성하면 올해 농업생산액은 지난해와 같은 60조1000억원, 이 중 쌀(8조원)을 비롯한 식량작물 생산액이 10조90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6.2%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정부는 쌀 과잉 생산을 해소하기 위해 올해 지자체별로 감축 목표를 정하는 '재배면적조정제'를 시행해 벼 재배면적을 서울 여의도(290㏊)의 276배 수준인 8만㏊ 감축하는 것이 목표다.
채소류 생산액은 지난해 14조6000억원에서 올해 14조원으로 4.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채소류 생산액은 지난해 채소 가격 상승으로 증가했으나 올해는 가격이 내리면서 감소세로 돌아서리란 관측이다.
과실류는 평년 수준 생산량을 감안하면 생산액은 7조4000억원으로 1.8%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축산업 생산액은 24조원으로 지난해보다 0.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농경연은 농업직불금 확대, 농외소득 증가, 경영비 감소 등으로 농가 한 곳당 소득은 5435만원으로 지난해보다 2.6%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농가소득은 전년 대비 4.2% 증가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