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경기 침체와 비상계엄·탄핵 정국 등 대내외 악재로 인해 기업들의 내년 1월 경기 전망이 약 5년 만에 최대 폭으로 하락하면서 역대 최장인 2년 10개월 연속 부정 전망이 이어졌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해 26일 발표한 내년 1월 종합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는 84.6로 집계됐다. 1월 BSI 전망치는 전달(97.3)보다 12.7포인트(p) 급락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강타했던 2020년 4월(25.1p 하락) 이후 4년 9개월 만에 최대 낙폭이다.
BSI는 기준치인 100보다 낮으면 낮을수록 경기 전망이 부정적이라는 의미다. BSI는 2022년 4월(99.1) 100 아래로 떨어진 뒤 34개월 연속 기준치를 밑돌았다. 한경협이 전국경제인연합회 시절인 1975년 1월 BSI 조사를 시작한 이래 50년 만에 역대 최장 연속 부진 기록을 경신했다. 종전의 역대 최장 기록은 2018년 6월∼2021년 2월(33개월)이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 BSI는 84.2, 비제조업은 84.9로 모두 암울했다. 제조업 BSI는 지난 3월 100.5를 기록했다가 4월(98.4)부터 10개월 연속 기준선을 밑돌았다. 제조업 10개 세부 업종에서 전자 및 통신장비(105.3)만 유일하게 긍정 전망을 보였다.
지난달 긍정 전망(105.1)으로 돌아섰던 비제조업 BSI는 한 달 만에 20.2포인트 폭락했다. 비상계엄·탄핵 정국이 내수를 냉각시킨 여파로 분석된다.
조사 부문별로 내수 88.6, 투자 89.4, 고용 90.0, 수출 90.2, 자금 사정 92.1, 채산성 94.0, 재고 104.9 등 7개 모든 항목에서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재고는 기준선 100을 넘으면 재고 과잉으로 부정적인 의미다.
내수는 2020년 9월(88.0) 이후 52개월 만에, 수출은 2020년 10월(90.2) 이후 51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투자는 지난해 4월(88.6) 이후 21개월 만에 최저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