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정부가 미국에 대규모 반도체 생산시설을 짓는 삼성전자에 지급할 보조금이 47억4500만달러(약 6조9000억원)로 결정됐다. 이는 양측이 지난 4월 예비거래각서(PMT)에 서명할 때 발표한 64억달러보다 26% 적은 것이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20일(현지시간) 예비거래각서 체결과 부처 차원의 실사, 반도체법에 의거해 삼성전자에 보조금을 지급한다고 발표했다. 상무부는 "삼성이 370억달러 이상을 투자해 텍사스주 중부에 위치한 반도체 생산시설을 미국 내 첨단 반도체 개발 및 생산의 종합 생태계로 만드는 것을 지원하는 데 쓰인다"고 설명했다.
지나 러몬도 상무부 장관은 성명을 통해 "삼성에 대한 이번 투자로 미국은 세계 5대 최첨단 반도체 제조업체가 모두 진출한 유일한 국가가 됐다"며 "인공지능(AI)과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최첨단 반도체의 안정적인 국내 공급을 보장하는 동시에 수만 개의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4월 PMT 서명 당시 삼성전자는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170억달러를 투자해 건설 중인 반도체 공장의 규모와 투자 대상을 확대해 2030년까지 400억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었다. 이와 비교해 삼성의 투자 규모는 7.5%(30억달러) 줄었고, 미국 정부의 보조금이 더 큰 폭으로 감소했다.
반도체업계는 외자 유치를 위한 바이든 정부의 거액 보조금 정책에 비판적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입장이 변수로 작용한 것으로 본다. 삼성전자는 2022년부터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건설 중인 반도체 생산공장에 추가로 새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고, 패키징 시설과 함께 첨단 연구개발(R&D) 시설을 신축하는 방안을 추진해왔다.
11월 5일 대선에서 트럼프가 승리하면서 정권 교체가 결정되자 바이든 정부는 새 정부가 들어서기 전에 반도체법에 따라 지급하기로 한 총액 390억달러 보조금을 집행하기 위해 해당 기업들과 협의해왔다. 앞서 미 상무부는 19일 SK하이닉스에 4억5800만달러(약 6600억원)의 보조금을 지급한다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