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硏 "일부 산업에서만 신입 대졸자취업만 늘어난 착시현상“

일본이 ‘아베노믹스’에 힘입어 일자리가 풍부해졌다고 하지만 그 속을 들여다 보면 부정적인 모습도 많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일부 산업에서만 취업자가 늘고 있고 비정규직과 고령자들이 소외되는 현상이 심화돼 그렇게 건전한 일자리 시장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는 풀이다.<도표참조>
4일 산업연구원 문종철 연구위원의 '일본의 산업별 취업자 변동추이와 시사점'이란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은 2013년 이후 취업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소프트웨어 개발를 제외하곤 ▲부동산 임대▲근로자 파견▲개별 간병 등 서비스분야에 편중돼 있고 대부분 산업에서는 취업자 수가 오히려 감소했다.
문 연구위원은 "일본은 2000년대 초반 이후 '파견직'으로 불리는 비정규직을 활용해 정규직을 대체하는 경향이 자리를 잡았다"며 "구직환경이 개선 된 것은 신규 대졸 취업자들에 국한돼 있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현재의 취업자수 증가 및 실업률 개선은 이른바 '잃어버린 20년'을 겪으면서 취업활동 자체를 포기한 이른바 '프리터' 세대의 동향은 반영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프리터는 안정된 직장 없이 아르바이트 등 일시적 노동력 제공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노동력을 가리킨다.
.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