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출생·고령화 여파로 30년 뒤 인구가 해마다 1%씩 감소해 100년 뒤에는 2000만명을 밑돌 것으로 예측됐다.
통계청이 2022년 인구총조사를 기초로 최근 출생·사망·인구이동 추이를 반영해 6일 내놓은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54년 우리나라 인구는 전년보다 1.03%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인구성장률은 2022년 -0.19%에서 2034년 -0.20%, 2038년 -0.30%, 2041년 -0.42%, 2044년 –0.53%, 2046년 -0.62%, 2052년 –0.92%, 2054년 –1.03%로 갈수록 감소폭이 커진다.
전국 모든 시도에서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더 빠르게 늘면서 인구의 자연감소 규모도 커진다. 경상북도의 경우 2022년에는 출생아가 1만1000명, 사망자가 2만6000명으로 인구가 1만5000명 자연감소했다. 30년 뒤 2052년에는 경북 출생아가 7000명, 사망자 가 4만4000명으로 인구가 3만7000명 자연감소한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의 6.3배에 이른다. 이는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큰 격차다.
2022년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출생아(3000명)가 사망자(2000명)를 웃돈 세종도 2045년부터 인구가 자연감소하기 시작한다.
국내 및 국제 이동까지 고려한 인구성장률은 2039년 경기도가 -0.01%를 나타내면서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인구가 감소세로 돌아선다. 2052년 기준 인구감소율이 가장 큰 지역은 울산으로 –1.54%로 예측됐다.
세종의 경우도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많지만, 인구가 유입돼 2052년 인구는 0.38%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그래도 2022년 인구성장률(5.20%)보다는 크게 낮은 증가율이다.
약 100년 뒤 2122년 우리나라 인구는 1936만명으로 2000만명을 밑돌 것으로 예측됐다. 세종도 2052년 54만명에서 2122년 28만명으로 감소한다. 2052년 1381만명으로 유일하게 1000만명을 웃도는 경기도 2122년 603만명으로 절반 이하로 줄어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