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덕근 산업장관"2035년 상업적 개발 시작…가치는 삼성전자 시총 5배"

윤석열 대통령이 3일 "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막대한 양의 석유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탐사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정브리핑을 열어 "140억배럴에 달하는 석유ㆍ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결과가 나왔고, 유수 연구기관과 전문가들의 검증도 거쳤다"며 "이는 1990년대 후반에 발견된 동해 가스전의 300배가 넘는 규모이고, 우리나라 전체가 천연가스는 최대 29년, 석유는 최대 4년을 넘게 쓸 수 있는 양이라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027년이나 2028년 공사를 시작해 2035년에 상업적 개발이 시작될 수 있을 것"이라며 "매장 가치가 현 시점에서 삼성전자 시가총액의 5배 수준"이라고 밝혔다. 탐사 비용에 대해서는 "지금 단계에서 추정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서 "4500만 배럴 분량의 가스가 나온 동해 가스전의 총비용이 1조2000억원 정도 들었다"고 덧붙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2월 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최소 35억배럴에서 최대 140억배럴의 석유·가스 부존 가능성이 높다는 통보를 받은 뒤 5개월에 걸쳐 해외 전문가, 국내 자문단 등의 검증 과정을 거쳤다고 밝혔다. 정부가 물리탐사 자료 해석을 통해 산출한 '탐사자원량'은 최소 35억배럴, 최대 140억배럴이다.
정부는 매장 예상 자원의 비율을 가스 75%, 석유 25%로 추정하고 있다. 가스는 최소 3억2000만t에서 최대 12억9000만t, 석유는 최소 7억8000만배럴에서 최대 42억2000만배럴이 부존할 것으로 전망됐다.
관건은 향후 탐사 시추를 통해 실제 부존 여부와 양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본격적인 개발·생산에 들어간다. 석유공사에 따르면 첫 탐사부터 생산까지 7∼10년 걸리고, 생산 기간은 약 30년이다.
정부는 첫 시추 일정을 연말로 계획 중이고, 3개월간 작업을 거쳐 최종 작업 결과는 내년 상반기 중으로 예상한다. 개발 과정에서의 투자비용은 정부의 재정 지원과 석유공사의 해외투자 수익금, 해외 메이저기업의 투자 유치를 통해 조달할 방침이다.
과거 석유공사는 동해 천해에서 10번 실패한 뒤 11번째 시추에서 국내 최초로 상업적 가스를 발견했다. 심해는 한 번 뚫는 데 1000억원이 들어 현실적으로 여러 차례 시도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들어간다.